섹션

효성ITX 스마트팩토리 사업, 수준은

한국의 경우,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국내 경제에 있어 중요한 분야다. 한국은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GDP(국내총생산) 대비 제조업 비중이 30%를 상회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스마트 공장과 관련 기술 수준은 4위로 알려져 있다. 3위에 자리하고 있는 일본과는 큰 기술 수준 차를 보이고 있다.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전략이 국가적 과제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스마트 팩토리는 기존 공장 자동화 수준을 넘어선 차세대 신기술과 제조 기술이 접목된 소비자 중심 지능화 공장으로,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로보틱스, 3D 프린팅, IoT(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시장은 오는 2022년까지 매년 9.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제조업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책으로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태다.

이런 가운데 ​효성ITX는 포스코ICT와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개발을 위한 MOU 체결에 대해 20일 밝혔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제품과 관련된 제조, 생산, 판매 등 전 과정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함으로써 생산 공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돕는 시스템이다.

효성ITX는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요소 기술에 기반한 IT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난 2017년부터 스마트 팩토리 사업을 하고 있다. 그룹 내 국내/외 여러 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오며 섬유·화학·중공업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노하우를 쌓아왔다.

양사는 스마트 팩토리 전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을 모두 공유하기로 했다. 이번 MOU로 양사가 기대하는 건 각 기업별 제조 업체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부분에 대해서다.

한국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초기 단계에 있다. 효성ITX는 국내 기업 가운데 향후 성장성이 큰 곳 중 한 곳으로 꼽히고 있다. 효성그룹은 IT 전문 계열사인 효성 ITX가 그룹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책임지고 있다. 효성ITX는 조현준 회장이 최대 주주로, 35.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효성이 35.0%, 기타 주주가 26.8%를 확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