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필수 금융상식 A to Z] 머니마켓크런치

머니마켓크런치(Money Market Crunch)는 단기 금융시장(머니마켓)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유동성이 급격히 부족해지는 상황을 가리킨다.

이는 금융기관 간 신뢰 저하, 금리 급등, 시장의 자금 흐름 정체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융기관이 단기 자금을 원활히 조달하지 못해 대출과 투자 활동이 위축되며 금융기관 간 자금 대출(콜론, CP 등)에서 상대방의 신용 위험을 우려하며 거래가 감소한다.

또한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단기 금리가 급격히 오른다.

이러한 영향으로 기업, 금융기관, 가계가 모두 영향을 받아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ECB

머니마켓크런치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유럽 채무 위기(2010~2012), 그리고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등이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에서 부동산 대출 시장의 과열과 함께 신용도가 낮은 차입자에게 과도한 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출 상환 불이행 증가했으며 모기지 관련 금융상품의 가치가 하락했다.

모기지 증권을 대규모로 보유한 금융기관들이 파산 위험에 처하자, 은행 간 대출(콜론 시장)이 거의 중단됐다.

이후 머니마켓크런치의 양상이 일어났다.

금융기관 간 자금 조달 비용을 나타내는 LIBOR(런던 은행 간 금리)가 급격히 상승했다.

또한 상업어음(CP) 시장도 경색되면서 기업들이 단기 자금을 조달할 수 없는 상황 발생했다.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하면서 시장 불안이 더욱 확대됐다.

보험사 AIG는 파생상품 손실로 인해 파산 위기에 처했으며, 미 정부가 긴급 자금을 투입했다.

미 연준(Federal Reserve)은 TARP(부실자산구제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기관에 직접 자본 투입했으며 CPFF(상업어음 자금 지원 프로그램)으로 기업 자금 조달 지원했다.

또한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QE) 정책으로 유동성을 공급했다.

▲유럽 채무 위기(2010~2012)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등의 정부가 과도한 부채를 축적했으며 2008년 금융위기의 여파로 경제 성장 둔화 및 재정 악화가 심화됐다.

이후 신용등급 강등되고 국채 금리가 급등했다.

남유럽 국채를 대규모로 보유한 은행들이 신용 위험에 노출됐다.

유럽 은행 간 대출이 급감하고, 자금 조달 금리(EURIBOR)가 급등했으며 은행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자산을 급매하면서 시장 불안 확대됐다.

남유럽 국가 국채 금리가 급등해 재정위기가 심화됐다.

또한 은행 대출 축소로 인해 기업과 가계가 타격을 입으며 경기 침체 발생가 발생했다.

이러한 머니마켓크런치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유럽중앙은행(ECB)은 LTRO(장기 대출 프로그램)을 통해 은행에 저금리로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했다.

2012년, ECB 총재 마리오 드라기의 "Whatever it takes" 발언으로 시장이 안정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각국이 경제 활동을 봉쇄됐으며 이로 인해 기업들의 매출 감소하며 단기 유동성 수요가 급증했다.

금융시장의 공포 심리가 확산되며 금융기관 간 자금 대출이 위축됐다.

미국 머니마켓펀드(MMF)에서 대규모 환매가 발생하며 시장 금리가 급등했으며 상업어음(CP) 시장 경색으로 기업들이 단기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용 경색이 실물 경제로 확산되며, 중소기업과 가계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회사채 시장과 국채 시장 모두 변동성이 극대화됐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 연준은 상업어음 유동성 기구(CPFF),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SMCCF) 등으로 시장 안정화를 추진했다.

또한 주요국들은 대규모 금리 인하 및 양적 완화(QE) 시행했다.

[Source: Conversation with chatG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