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와 JP모건 등 주요 해외 10개 투자은행들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제시했다.
이는 한 달 전에 비해 빠르게 하향 조정된 수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4.0%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와 JP모건, 모건스탠리, 도이치뱅크, 씨티은행 등 10개 해외 투자은행(IB)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평균 -2.3%로 관측했다. 이는 올 1월 말에 다시 예측한 수치로 한 달 전인 12월 말 집계치였던 0.8%에 비해 3.1%포인트나 하향 조정된 것이다.
이같은 수정치 발표는 새해를 맞아 기관들이 발표치를 재조정하는 경향이 있고 지난해 12월에서 올해 1월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세계 경기가 다시 급변동한데 따른 것이다.
-2.3%는 며칠전 IMF가 제시한 -4.0%보다 1.7%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IMF는 지난해 11월24일 기존 전망치 2%에서 -4%로 변경, 무려 6%포인트를 하향조정한 데 비해 해외 IB는 절반 수준인 -3.1%포인트를 조정했다.
하지만, 10개 기관 모두 한국이 올해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BNP파리바는 -4.5%로 가장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고 도이치뱅크가 -4.0%, UBS가 -3.0%를 예측했다.
이밖에 스탠다드차타드(-1.2%), 골드만삭스(-1.0%), 메릴린치(-0.2%) 등은 비교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다른 아시아 10개 개발도상국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은 싱가포르(-3.0%)와 홍콩(-2.3%)에 이어 가장 낮은 수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만 역시 역성장(-1.3%) 가능성이 큰 국가로 지목됐다.
또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각 0.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고, 필리핀 2.4%, 인도네시아는 3.6%, 인도 5.2%, 중국은 7.0% 성장할 것으로 관측한 가운데 이들 10개국의 평균 성장률은 1.0%로 나타났다.
미국의 성장률은 -2.0%, 유로존은 -2.0%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일본은 -3.1%를 기록하며 경기 침체가 비교적 심각할 것으로 관측했다.
그러나, 해외 IB들은 우리나라는 내년 플러스 성장으로 반전하며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외 IB들은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올해 2.6%, 내년에 2.5%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