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는 AI 컴퓨팅 수요 급증을 지속하고 자사 제품이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 서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최신 기술을 공개했다.
젠슨 황 CEO는 19일(현지 시각)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전시회인 대만 컴퓨텍스(Computex) 개막 행사에서 신제품을 소개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무역 사절단의 일원으로 중동을 방문해 협상 타결을 위한 방문을 한 후 엔비디아 주가는 상승세를 타고 있다.
황 CEO는 AI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개발 및 운영에 필수적인 엔비디아 가속기 칩 관련 생태계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핵심 목표는 엔비디아 제품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더 많은 산업과 국가의 AI 도입을 가로막는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다.
황 CEO는 대만에 대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면, 바로 이곳, 컴퓨터 생태계의 중심에서 시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황 CEO는 올해 3분기에 출시될 예정인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 워크로드용 GB300 시스템 출시 시기에 대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도입하고 있는 최고급 그레이스 블랙웰 AI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 소유주들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버전의 완전한 컴퓨터를 제공하고 있다. NV링크 퓨전 제품을 통해 고객은 자사 CPU를 엔비디아 AI 칩과 함께 사용하거나, 엔비디아 CPU를 다른 공급업체의 AI 가속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엔비디아는 자체 부품으로 제작된 시스템만 제공해 왔다.
프로세서와 가속기 간의 고속 연결을 보장하는 핵심 연결 부품을 포함한 엔비디아의 설계를 개방함으로써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 고객에게 더 큰 유연성과 엔비디아 기술을 중심으로 경쟁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 같은 주요 고객사들은 자체 프로세서와 가속기를 설계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의 데이터 센터 내 중요도를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황 CEO는 미디어텍, 마벨 테크놀로지, 알칩 테크놀로지가 엔비디아 프로세서 기반 장비와 호환되는 맞춤형 AI 칩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퀄컴과 후지쯔는 컴퓨터에서 엔비디아 가속기와 호환되는 맞춤형 프로세서를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