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언에 따라 '아주 작은 비석'에는 단 여섯 글자만 새겨진다.
'고 노 전 대통령의 아주 작은 비석 건립위원회'는 "노 전 대통령이 유언으로 남긴 '아주 작은 비석'은 높이 40㎝ 정도의 키가 낮고 넓적한 너럭바위 형태의 자연석에 '대통령 노무현' 6글자만 새기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화장한 유골은 안장하되 봉분은 만들지 않겠다는 유족의 뜻에 따라 고인의 유골은 지하에 안치하고 지상에는 자연석을 얹어 봉분 겸 비석으로 삼는 것이다.
비석에 새길 글씨는 조계종 총무원장인 지관스님이 썼다고 알려졌다.
건립위는 따르면 비석을 받치고 있는 강판 재질의 바닥에는 성공회대 석좌교수인 신영복 선생의 글씨로 노 전 대통령의 어록 중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는 글귀를 새길 예정이다.
건립위는 "비석 바닥에 새겨지는 비문은 고인께서 서거하기 직전까지 한 순간도 포기하지 않았던 굳은 믿음 가운데 하나"라며 "이 어록은 고인이 여러 공식 비공식 석상에서 민주주의를 이야기할 때 누차 강조한 내용이며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가치로 역설한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비석을 받치는 강판 주위는 넓고 얇은 형태의 박석(薄石)으로 정리된다고 건립위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