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기적 경기회복 예상보다 완만할 수도” 산업硏

최근 이례적인 경기의 빠른 회복세에도, 중기적으로는 이전의 경제위기 때보다 훨씬 완만한 회복속도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8일 산업연구원은 '대형 침체 이후의 경기회복' 보고서를 통해 "한국경제는 이번위기 이전에 4차례 경제위기를 경험했고, 그 회복과정은 환율의 대폭 상승과 수출주도에 의한 경기회복 이었는데 반해 이번엔 수출주도의 빠른 경제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는 "이번 위기와 같이 주요국이 동시에 경기침체를 보이는 '고도로 동조화된 금융위기'는 통상적인 경기변동에 비해 회복기간이 길어지고 회복속도도 완만하다"고 전했다.

이는 과거에 비해 수출회복의 경제환경이 불리한 것을 의미한다며 이같은 차이는 전기 대비 수출증가율이나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금년 1분기 들어 높은 증가세를 보인 점은 긍정적이나, 작년 4분기 이후 수출급락에 따른 반등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해 수출로 인한 회복기조는 미미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최근 경기는 대규모 경기부양과 고환율, 급락 이후의 반등 효과 등에 힘입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기적으로는 경기부양이나 환율 효과가 소진되고 수출환경 부진이 부각되며 회복세가 완만해질 것"으로 "경기 저점 통과 이후에도 상당기간 고용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회복세의 취약성이나 일부에서 제기되는 세계경제 더블딥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신중한 접근이 요망된다"면서 "수출촉진 전략모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