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윤희식 부장검사)는 30일 외교통상부 청사를 전격적으로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10시경 서울 종로구 사직로 외교부 청사에 검사와 수사관 등 8명을 보내 오후 2시40분경까지 약 5시간 가까이 2명 1개조로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사무실과 보도자료 배포 업무를 맡은 대변인실, 실무부서인 에너지기후변화환경과와 아프리카과 사무실에서 직원들과 면담하는 한편, 컴퓨터 하드디스크 복사본과 외교전문, 보도자료 사본 등 각종 서류를 확보했다.
검찰은 특히 외교부 본부와 카메룬 주재 대사관이 주고받은 CNK 관련 외교전문 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이 들어오는 외교정보시스템실도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압수수색이 끝날 무렵 빈 박스를 에너지자원대사실로 반입, 이 가운데 5개를 채우고 나왔다.
검찰 관계자는 "임의제출이 아니라 직접 압수수색을 했다"며 "(본부와 대사관이) 주고받은 공문을 보면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김 대사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외교부는 이날 사상 최초로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이번 사건 수사와 관련해 검찰이 정부 부처를 압수수색한 것도 처음이다.
대한민국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외교부가 검찰로부터 갑자기 사상 첫 압수수색을 당하자 외교부 직원은 당혹감과 함께 참담한 심경을 감추지 못했다.
검찰은 10시경 "압수수색을 위해 출발한다"고 외교부에 연락하고 나서 10분 정도 뒤 갑작스럽게 사무실 문을 두드린 것으로 알려졌다.
압수수색을 마친 검찰 관계자들은 "압수수색이 왜 길었느냐", "무슨 자료를 중점적으로 압수했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고 타고온 미니버스를 타고 외교부 청사를 빠져나갔다.
한편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연합뉴스 및 보도전문채널 뉴스Y와의 인터뷰를 통해 "저로서는 낯을 들기 어렵다. 검찰 수사에 최대한 협력할 것"이라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에 대해 국민께 죄송하다"면서 사과했다.
이어 "(감사원 감사결과는) 저도 충격이었다. 조직의 장으로 무한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면서 "어떻게 하는 것이 책임을 지는 것인지 항상 고민하고 있다"며 앞으로 보도자료 심의위 구성과 고위공무원 청렴도 평가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조직 쇄신을 하는데 '올인'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검찰은 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을 지낸 김 대사가 지난 2010년 12월17일 대부분 허위이거나 상당히 부풀려진 내용의 외교부 보도자료 배포를 주도해 CNK 주가 폭등의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 대사는 외교안보정책관이던 지난 2009년 5월 민관합동대표단장 자격으로 카메룬 현지를 방문한 데 이어 2010년 5월에는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을 단장으로 한 민관고위급대표단의 일원으로 카메룬을 찾은 바 있다.
또 검찰과 감사원에 따르면, 김 대사가 지난 2009년 1월말 가족모임에서 CNK 사업에 대해 얘기한 이후 두 동생이 지난해 1월까지 주식 8만여주를 매수해 지난해 8월말 기준으로 2천여만원의 차익을 챙겼고, 현재 7만8천여주를 보유하고 있다.
김 대사의 동서 등 친인척 3명도 CNK 주식을 거래했지만 감사에서는 김 대사와 관련된 정황이 드러나지 않았다.
또한 김 대사 비서는 2010년 8월부터 CNK 주식을 사들여 3천500여만원의 시세차익을 얻었고 총 1천585회에 걸쳐 행정전화를 이용해 주문을 냈다.
검찰은 CNK 측이 밝힌 다이아몬드 매장량에 대해서는 "(매장량) 발표경위, 정확성, 가능성 등에 비춰 (허위여부) 판단이 가능하다"며 현지조사 필요성을 크게 두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