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KT의 복수노조와 시민단체들이 KT의 개인정보 무단수집 문제를 공론화하고 있다. 하지만 KT 측은 이들 단체 자체를 인정하지 않아 반박할 것도 없다는 입장이다.
2일 투기자본감시센터와 전국언론노조, KT새노조, KT노동인권센터 등은 서울 광화문 KT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KT가 조직적으로 고객 및 자사 직원들의 개인정보를 조직적으로 수집해왔다고 주장했다.
◆ 개인정보 수집 논란
우선 그간 KT가 개인정보 수집에 열을 올리며 수익을 극대화하려 했던 것이 이번 개인정보 유출사건을 일으켰다는 지적이다.
이해관 KT 새노조 위원장은 "KT는 현장에서 소비자를 직접 만나는 KT 노동자들에게 실적고과를 부여하며 개인정보 수집을 주요 업무로 강제해 왔다. 심지어 개인정보 수집실적이 부족한 노동자에게는 '업무지시서'를 보내서 압박까지 했다"며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를 KT는 수익 극대화의 수단으로 이용했다"고 했다.
KT가 개인정보 그 자체를 상품화하려는 시도는 여러차례 있었다. 130만명의 정보를 수집한 '소디스'(Sodis) 사업이 그것인데, 다른 기업들에게 돈을 받고 회원 정보를 넘겨주는 것 자체가 불법성이 있어서 2005년 당국으로부터 처벌을 받았다.
또 2010년에는 시내전화 가입자 1000만명 이상 고객들로부터 일방적으로 특정 요금상품에 무단 가입시켜 무려 9년이 가까운 세월동안 매달 수천원에서 만원 정도의 돈을 챙긴 일명 'KT 몰래 정액제' 사건이 있었다. 해당 금액을 되돌려 주라는 정부당국의 명령도 KT는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아직까지 있다.
◆ 자회사 직원 정보수집도 문제
여기에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KT의 개인정보 수집이 고객에 대해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계열회사인 자회사 직원들의 개인 정보를 당사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수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까지 스카이라이프와 BC카드의 직원들에 대한 불법 수집이 드러났다"고 했다.
또 "KT의 대부분의 자회사에서도 광범위하게 개인정보 수집이 불법적으로 진행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 KT가 자회사에 'KT경영진단'이란 명목으로 방대한 자료를 공식적으로 요구했는데, 경영진단이라는 이름으로 같은 요구를 다른 자회사에서도 똑같이 했다고 봐야 하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장화식 투기자본감시센터 공동대표는 "KT가 요구한 정보에는 인적사항, 출장내역, 근태내역, 복지포인트, 학자금 내역 등 전 직원의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다. 인적사항에는 직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관련 내용도 포함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강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도 "복지포인트는 일종의 신용카드로 이 포인트 내역에는 개인의 지출 내역이 있어 개인 사생활까지도 엿볼수 있다"며 "개인사생활 침해이고, 개인에 대한 사찰기도로 까지 의심되는 대목이다"고 했다.
이해관 KT새노조 위원장은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직원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며 "그 목적이 결국은 노동조합을 무력화하려는 것에 악용되고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미 KT계열회사에서는 '경영진단'이라는 이름으로 직원들에 대한 조사가 끝난 모 사업장의 경우 직원들의 30~40%가 징계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계열회사에 대한 '경영진단'을 행하는 부서가 '윤리경영실'이라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해관 위원장은 "경영진단을 왜 윤리경영실에서 하는가. 이것은 KT그룹이 하는 경영진단이 단순한 경영진단이 아니라 '직원사찰'이라는 반증이다"고 했다.
◆ KT "의도·정치적 폄하…시민단체들 진정성 봐야"
한편, 이번 기자회견 및 이들의 주장에 대해 KT 홍보실 관계자들은 직접적으로 반박 또는 해명하기보다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주체를 문제삼았다.
한 관계자는 "행사(기자회견) 주최 측이 누군지 아느냐. 노조(KT새노조)도 제2노조라고해서 우리쪽 전체 90%를 차지하는 것이 아닌 다른 노조다. 우리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노조는 아니며, 따라서 노조 전체 입장은 아니다"고 했다.
이번 사안을 담당하고 있다는 관계자도 "공대위(KT 계열사 노동인권 보장과 통신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라는 조직이 10명도 안되는 작은 조직인데, 의도적으로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집단이라고 생각해서 진정성을 봐야할 듯 하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단체들은 KT공대위 소속이다.
이어 "항상 이런일이 있을 때마다…단체 이름부터(KT 공대위) KT를 폄하시킨다. 특수한 목적을 갖고있기 때문에 공정하다고 볼 수 없다. 단체를 인정 안 하므로 (회사 차원에서) 반박도 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안에 대해 재차 질문하자, 그는 "경영권리를 갖고있는 회사가 그룹사 경영이 잘되는지 확인할 수 있지 않느냐"며 "개인정보를 빼간 것이 아니라 업무적인 것, 돌아가는 것을 보다보니 (이런 주장이) 나올 수 있는데 법적인 절차대로 했다"고 답했다.
또한 "사측에서 (직원 개인정보를) 요구한 적은 없다"면서도 "이분들(KT공대위) 일방적 폄하와 명예훼손으로 소송도 걸렸을 것이다"며 "따로 반박 안 한다. 가치가 없다"고 했다. KT 측은 지난달 17일 KT공대위를 상대로 3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