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우리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 회장 인선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하지만 벌써부터 낙하산의 유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금융과 KB금융은 그동안 정부의 낙하산 인사로 몸살을 앓아왔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권력은 최측근을 회장으로 앉혀 관치 금융정책을 밀어붙이는 도구로 삼았다. 이번 두 금융지주의 회장 인선에 정부의 입김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안에 우리금융을 민영화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천명해왔고, 이미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민영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직접 '민영화 의지 및 추진력'을 우리금융 회장 요건으로 제시하기까지 했다.
또한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언급한 바 있는 메가뱅크 방식의 경우 KB금융지주를 제외하고는 마땅한 인수 후보자가 없다는 점에서, 연이어 진행되는 두 금융지주의 회장 인선을 주목하게 만든다.
우리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회장 후보 접수를 마치고 지난 8일 후보 대상을 6명으로 압축시켰고, KB금융지주도 같은날 회추위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KB와 우리금융의 새 회장 찾기는 결국 한 패키지'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 민영화 한 가지만 가지고 국내 최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선임할 수는 없다. 전세계적인 통화전쟁과 가계부채 및 국가부채 급등, 중소기업 및 서민 금융 실종, 부실기업 구조조정, 부동산 버블 등 시급한 금융 현안들이 발등 앞에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두 금융지주의 수장 인선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런 문제들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이번에야말로 정부가 잘못된 관치의 악순환을 끊어내고 순리대로 인사를 처리하는 안정감을 보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