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수소 시장 진출 기반 마련한 한화

한화가 수소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미국 수소 트럭 업체인 니콜라가 나스낙에 상장 됐는데, 한화그룹은 지난 2018년에 이 업체에 총 1억 달러를 투자했다.

한화그룹은 "한화에너지와 한화종합화학이 상장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인정받은 니콜라의 수소 트럭 사업에 합류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8일 밝혔다.

한화가 보유한 니콜라 지분 가치는 상장 이후 7억5000만달러이다. 니콜라는 상장 첫 날인 4일(현지 시각)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 33.7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기업 가치는 122억달러를 기록했다.

한화에너지와 한화종합화학은 지난 2018년 11월 약 5000만달러씩, 총 1억달러를 투자해 합병법인 지분 6.13%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 투자에 나선 지 1년 6개월만에 보유 지분 가치가 7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 업체는 수소 1회 충전으로 1200마일(약 1920km)을 갈 수 있는 수소 트럭(FCEV)과 유럽을 겨냥한 전기 배터리 트럭(BEV) 등을 개발하고 있다. 내년부터 전기 배터리 자동차 판매를 통해 미국∙유럽 트럭 시장에 진출한 뒤, 이르면 오는 2023년 수소 트럭을 양산할 계획이다. 수소 트럭 제조 외에 수소 충전소 조성을 통한 수소 기반 물류 사업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미 '버드와이저'를 생산하는 세계적 맥주회사인 앤호이저 부시 인베브 등을 수소 트럭을 이용한 물류 대행 고객으로 확보했다. 앤호이저 부시 인베브는 국내 업체인 오비(OB) 맥주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 오는 2027년까지 수소 충전소 800여개를 짓는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업체는 궁극적으로 수소 에너지 기반의 자율 주행 트럭으로 전 세계의 물류 인프라를 완전히 바꾸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한화에너지의 경우, 당시 북미 지역에서 신재생 에너지 사업 확장을 고민하고 있었고 한화종합화학의 경우는 친환경 융복합 사업 신규 진출을 추진하던 중이었다. 두 계열사는 공동 투자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당시, 현 한화솔루션 김동관 부사장(당시 한화큐셀 영업총괄 전무)은 창업주인 트레버 밀턴을 직접 만나기도 했다.

한화 주요 계열사는 니콜라 상장을 계기로 미국 수소 생태계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한화에너지는 니콜라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공급할 권한을 갖고 있다. 한화종합화학은 수소 충전소 운영권을 확보한 상태다.

한화는 기후 변화에 대한 적극 대응을 위해 태양광은 물론 수소까지 아우르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대표 기업으로 자리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
<사진=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
​ ​ <사진=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