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리스크) 요인으로 높은 가계부채 수준과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설문조사·10월 21일∼11월 8일)'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주요 경제 전문가 81명 가운데 26.9%는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1순위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부담 증가'를 지목했다.
두 번째로 1순위 응답률이 높은 요인은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20.5%)였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응답(5가지 요인 복수 응답) 빈도수만 따지면, 대내 요인으로는 ▶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과 상환부담 증가(61.5%) ▶ 내수회복 지연 등에 따른 국내 경기 부진(51.3%) ▶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등이 많이 거론됐다.
대외 요인의 경우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와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 등 주요국 자국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가 주로 꼽혔다.
위험이 언제 나타날지에 따라 요인을 시계별로 나누면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가 단기(1년 이내) 위험 요인으로 꼽혔으며 중기(1∼3년) 위험 요인에는 가계부채·인구구조 변화·자국우선주의 정책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실제 발생 가능성이 큰 요인은 인구구조 변화,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 자국우선주의 정책,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로 조사됐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에 대해 한번 문제가 터지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다른 요인들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조사 대상자의 15.4%가 "단기 시계(1년 이내) 금융시스템 안정을 저해할 단기 충격이 발생한 가능성이 크다" 또는 "매우 크다"고 답했다. 1년 전 같은 조사 당시의 비율(20.8%)보다 낮아졌다.
중기 시계(1∼3년)에 금융 충격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거나 매우 크다고 관측한 비율도 1년 사이 44.2%에서 34.6%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금융 안정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가계부채 디레버리징(차입 상환·축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한계기업 구조조정, 거시건전성 관리, 감독당국·금융사 간 원활한 소통, 금융정책 일관성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