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일 통합 KT가 출범하며 통신 업체들은 집전화와 인터넷 전화, 초고속 인터넷, 이동전화를 결합한 상품들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소비자들은 결합 상품 가입시 다양한 할인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이들 상품은 집전화와 초고속 인터넷, 인터넷 TV 등 유선 기반의 상품은 물론이고 휴대폰과도 패키지로 구성돼 각 상품마다 요금체계도 상당히 복잡하다.
그만큼 소비자들은 자신의 통화상품 이용패턴, 가입연한, 이용량 등을 고려해 신중히 통신업체를 선택해야 한다.
◇ 가족수 많으면 KT, 장기가입자는 SKT가 유리
'쿡'을 내세운 KT와 'T밴드'를 내놓은 SKT의 기본 전략은 확연히 차이가 난다. KT는 '결합'을 시장공략의 핵심으로 본 반면 SKT는 휴대폰 장기 가입자를 중심으로 결합 상품 가입을 노리는 전략을 세웠다. 이러한 전략의 차이는 할인 방법에서부터 드러난다.
유.무선 결합시 이동전화 기본료의 경우 KT는 이동전화 가입대수(1∼5대)에 따라 대수별로 10%에서 50%까지 할인 가능하다. 휴대폰 가입자가 1명 늘 때 마다 기본료 할인폭도 10%씩 늘려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번호이동과 신규가입을 원하는 가족수가 많은 수록 유리하다.
하지만 KT는 동일거주지에 있는 주민등록상 가족만 결합상품 가입에 따른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SKT의 경우 이동통신 'T'와 SK브로드밴드 초고속인터넷을 오래 이용하면 할인 혜택이 커진다. SKT는 이동통신과 초고속 인터넷 가입 연수에 따라 할인률을 10%, 20%, 30%, 50% 등으로 차별화 했다. 즉 SK텔레콤은 가입연수가 긴 장기가입자가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또 SKT는 거주지와 무관하게 가족등록부상 가족은 모두 결합상품 가입에 따른 혜택을 볼 수 있어 적용 대상의 면에서는 KT보다 유리하다.
◇요금 비교하면 SKT, 통화료 생각하면 KT로
단순히 요금을 비교하자면 KT보다 SKT측이 약간 앞섰다.
'초고속인터넷+집전화+이동통신'으로 구성된 삼중결합상품(TPS)의 요금을 3년 약정을 기준으로 봤을 때 SKT측이 월 2만6,288원이며 KT는 2만7,000원이다. SKT 사용자가 3년동안 약 3,000원의 요금을 아끼는 것이다.
하지만 통화료를 보면 KT 상품이 더 유리하다. 두 상품 모두 가족간 통화는 일률적으로 50%를 할인해주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KT는 가족 외에도 유·무선 각 지정번호 1회선에 대해 쿡 2종 상품 가입 시에는 20%, 3종 상품 가입 시에는 50%까지 통화료를 할인 받을 수 있다. SKT는 가족이외의 SKT 가입자와의 통화에서는 할인을 받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