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성태 한은 총재, 큰 고비는 넘겼지만..해결할 게 많아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기업구조 조정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12일 한국은행 창립 59주년 창립기념식 기념사에서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큰 고비는 넘긴 것으로 보이는 만큼 기업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며 "부실기업의 정리가 늦어지면 신용위험 우려가 해소되지 않아 금융시장이 조기에 정상화되기 어렵고 우리 경제의 대외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어 그는 "최근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이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라면서도 "단기외채 의존도를 낮추는 가운데 해외자본의 대규모 유출입에 따른 시장불안의 소지를 줄이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전했다.

또 이 총재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여건이 호전되더라도 금융기관이 지나친 자산확대 경쟁에 나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며 "위기상황에 대응한 그간의 확장적 통화 및 재정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하반기에 역점을 둘 사항에 대해 "금리정책은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개선 움직임이 추세적 현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이 물가의 하향안정세를 저해하고, 단기 유동성이 부동산 등 자산가격의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 총재는 "향후 경기에 대해 "우리 경제는 개선 움직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국내외적으로 적지않은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현재 세계 경기과 국내 경기에 대해 분석했다.

이어 "세계경제의 부진이 지속되고 주요국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정리가 지연되면서 국제금융시장 정상화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며 "원유 등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져 경기회복을 더디게 하고 물가안정을 저해할 우려도 있다"고 불안 요인 두 가지를 꼽았다.

이에 더해 "핵 문제와 관련된 지정학적 리스크도 잠재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