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해 9월 7일부터 15일까지 7일간 실시(감사요원 21명 참여)한 ‘광주시 종합감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종합감사에서는 국·도정 및 시정의 주요 시책사업 추진 실태, 토목·건축 등 대규모 시설공사 추진 실태, 주민생활과 직결되는 민원처리실태, 물품구매·공사입찰·예산집행 실태와 무사안일 업무행태 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감사를 실시했다.
특히, 각종 시책사업의 적법성·타당성, 건전재정 운영 여부 등에 대한 진단과 개선방안 도출에 중점을 두었고, 민생관련 주요사업 및 지방행정에 부여된 기본적인 공적 책무의 방치 또는 누수 현상이 있는지를 중점 점검했으며, 종합감사 기간 중 시민들로부터 생활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인・허가 관련 부조리, 부당행위 등에 대하여 제보를 받아 주민불편·부당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감사제도’를 운영했다.
감사결과, 법령위반 및 예산낭비와 직무 소홀 등 총 56건의 잘못된 행정을 적발하여 고의성 있는 위법사항과 관련된 공무원 75명(중징계 2, 경징계 6, 훈계 67)을 문책요구 했으며, 재정상 16건 1,574백 만원을 추징 또는 감액 조치토록 하는 등 지적 사항에 대해 시정·개선과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광주시에 대한 종합감사를 통해 지방행정의 적법성 확보는 물론, 각종 시책운영 및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지방자치를 한 차원 높게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광주시에서 추진한 여름철 풍수해를 대비하여 추진한 “재난 예·경보체계구축”으로 시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한 사례 등 우수사례 발굴과 함께 우수공무원을 선정하여 표창함으로써, 열심히 일하는 공직 분위기를 조성함은 물론, 감사에 반복 지적되는 사례가 없도록 타 지방자치단체에 감사지적 사례를 전파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