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콘텐츠·미디어·3D…12조 투입

정부가 우선 미래 성장가치 및 고용흡수력이 큰 콘텐츠·미디어·3D산업 분야를 적극 육성키로 했다.

정부는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콘텐츠·미디어·3D산업'등 5대 유망 서비스산업의 일자리 창출에 본격 나서기로 합의했다.

이날 정부는 콘텐츠산업의 경우 대기업이 우수한 콘텐츠 제작업체와 공동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정부가 제작비를 지원하는 '콘텐츠 생태계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이 사업에 3년간 민관이 함께 5천억원을 투입한다.

또 국내 콘텐츠업체의 해외진출을 돕는 프로젝트로 정부와 대기업, 해외투자자가 참여하는 2천억원 규모의 글로벌 콘텐츠 펀드도 2013년까지 조성키로 했다.

이로써 컴퓨터그래픽(CG)에 대한 R&D 지원을 2014년까지 올해의 배 수준인 400억원으로 확대하고 현재 연간 3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할리우드 CG시장 선점에 나설 방침이다.

1인 창조기업에 최대 4천만원까지 지원해 작은 아이디어를 콘텐츠 상품화 할 계획이다. 계획에 따르면 현재 3만7천여개인 콘텐츠 1인 창조기업은 2014년까지 5만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미디어산업에서는 제2의 인터넷 붐을 조성한다는 방향 아래 무선인터넷 이용 활성화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금융결제, 게임 등급분류제도 등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불편하게 하는 규제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올해 안에 무선랜 이용 가능지역을 2배로 확대하는 한편 와이브로 서비스 제공지역도 내년까지 전국 84개 시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고품격 실감방송, 미래 인터넷, 모바일 통합망 등의 연구개발에는 5년간 5천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3D산업에서는 고가의 3D 장비·시설 및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중소기업이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정부는 1천억원 규모의 3D 전문펀드를 조성해 유망 3D 기업 지원에 나서고 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도 마련할 계획이다. 3D 기기와 소프트웨어산업에서 2014년에 15조원 규모의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 봤다.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위원장 곽승준)는 이런 정책들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2014년까지 콘텐츠산업은민관이 6조5천억원을 투자해 3만명, 미디어산업은 4조7천억원을 투자해 1만명, 3D산업은 15조원의 매출을 통해 4만명의 고용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콘텐츠·미디어·3D 산업 육성을 범국가적 아젠다로 삼고, 저작권 보호와 산업간 협업을 막는 규제 철폐, 수학과 경제학 교육 강화 방안 등을 건의했다.

이와 관련, 이승현 광운대 교수는 “3D 산업은 융합산업이고 녹색산업이다. 정부 차원의 3D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건의했고, 김국진 미디어미래연구소 소장은 “콘텐츠·미디어·3D산업 육성은 한 부처가 아닌 범국가적 아젠다가 돼야 한다. 글로벌시장을 겨냥할 수 있도록 가까운 아시아 시장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