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국가대표 술은? '소주'

우리나라 음주자들에게 '술'하면 떠오르는 주종을 물어본 결과, 4명중 3명이 소주라고 답했다. 그 다음은 1/5이 떠올린 맥주였으며 그 외의 주종은 미미했다. '소주'하면 떠오르는 브랜드로는 과반수가 참이슬을 지적했으며, '맥주’로는 하이트, ‘막걸리’는 포천막걸리의 연상률이 가장 높았다.

리서치 전문기관 마케팅인사이트는 지난 3월, 한 달에 한 번 이상 술을 마신다는 전국의 소비자 20,829명을 이메일을 통해 '제1차 음주 행동 및 태도 기획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술'하면 떠오르는 주종으로 4명중 3명(73.7%)이 소주라고 답해 많은 음주자들에게 소주가 술의 대명사임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맥주(19.4%)가 많았고, 막걸리/동동주(2.6%), 와인(1.6%), 위스키(1.0%)등이 뒤를 이었으나 미미한 수준이었다. ‘술’하면 소주를 연상한 경우는 남성은 5명중 4명 이상(83.3%)이었으며, 여성의 경우도 5명중 3명(59.8%)에 달했다.

소주·맥주·막걸리 등 각 주종 별로 가장 먼저 떠오로 소주는 참이슬이 51.7%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처음처럼(11.6%), 진로(골드)(10.3%), C1(7.1%)이 따랐다. 참이슬은 영남과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연상률을 보여, 유일한 전국구 브랜드라 할만 했다.

맥주는 하이트(49.6%)를 떠올리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카스(28.6%), OB(9.8%), 맥스(6.5%), 하이네켄(1.2%)의 순이었다. 하이트와 OB 연상률은 4~50대에서 높은 반면, 맥스와 카스는 2~30대에서 높았다. 세대교체 과정에서 OB의 쇠퇴를 성공적으로 커버해 온 카스가 하이트와 맥스의 협공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판세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막걸리의 경우 포천막걸리가 32.2%로 가장 앞섰고, 그 뒤를 서울장수 생막걸리(24.7%), 국순당 생막걸리(17.2%), 생탁(16.2%)이 따랐다. 전반적으로 확장세에 있으나 아직 4-50대가 주축인 막걸리 시장은 과거 구전을 통해 알려진 지명(포천, 일동, 이동 등) 중심의 상품명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브랜드간의 경쟁은 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