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취재현장] 어린이 비만, 식품업계만이 책임자?

내년 상반기부터 어린이 기호식품에 도입되는 '신호등 표시제'로 제과 업계는 고민에 빠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성분에 대해 적·녹·황 3단계로 표시한 일명 '신호등 표시제'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신호등 표시제는 지난 2007년부터 식약청이 제안한 소비자들이 알기 쉽게 식품의 영양을 색상과 기호로 표기하는 제도로, 과다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운 총지방과 포화지방·당류·나트륨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된다.

이는 내년 1월부터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 시행으로 생긴 제도로, 표시 대상은 어린이 기호식품 중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식품으로 과자와 빵·초콜릿·햄버거·샌드위치 등이다.

제도가 시행되면 초콜릿과 햄버거 제품 70% 이상에 '빨간 신호등'이 표시된다.

이에 대해 식품업계는 "영양성분표시제와 관련된 논의가 가장 활발한 영국에서조차도 신호등 표시제는 권고 사항일 뿐 법으로 도입되지 않았으며, 유럽 의회에서도 지나치게 단순하며 정확하지 않은 기준을 갖고 있다는 명확한 근거 때문에 법 조항에서 삭제됐다"며 기준을 완화해 달라는 입장이다.

또한 "여러 영양성분이 복합적으로 함유된 제품을 단순히 지방·당 등의 함유량만 보고 나쁜 음식으로 분류함으로 어린이들에게 식품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심어 줄 수 있다"고 우려하며 "그러나 제도가 시행되면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장기적으로 수십조 원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으로 제안됐지만, 사실 어린이 비만을 식품업계만이 책임져야 할 문제는 아니다.

맞벌이 구조 속에서 바쁜 엄마들이 아이들 건강 챙기기에 등한시 하는 부분도 무시할 수 없으며, 공부하느라 바쁜 어린이들이 뛰놀 수 있는 여건도 마련돼 있지 않다. 또한 정부도 다각도로 비만 예방 교육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신호등 표시제가 실행된 후에도 비만 문제가 여전하다면 정부는 그 책임을 식품업계에 돌리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