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시, 각 자치구 공공시설 기반 격차 심각

2000년 이후 서울시가 도시발전을 추진해 도시기반시설과 공공시설이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특정 자치구에 편중돼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정책개발연구원은 10일 '지표로 본 서울의 도시공간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서울시는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심 내 공원 및 녹지시설의 확충에 노력을 기울었지만 자치구간 공원 면적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도시공원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97㎢에서 103㎢로 증가했고 1인당 공원 면적도 9.8㎡에서 10.4㎡로 늘었다.

도심 공원 총 면적은 늘었지만 각 자치구 간 격차는 오히려 늘어났다. 서초, 종로, 노원구 등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높았지만 영등포, 동대문, 성동구 등은 서울시 평균도 못 미쳤다.

도시계획에 의한 공원 확보 기준인 인구 1인당 6㎡에 못 미치는 자치구가 10곳이나 돼 지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에 이어 주차공간 확보율도 자치구별로 크게 차이 났다.

2008년 서울시 주차장 확보율은 98.8%로 예전보다 주차환경이 향상됐다. 그러나 강남, 서초, 중구 등 업무 및 상업시설에 밀집한 곳은 주차장 확보율이 100%로 상회한 반면 종로, 강북, 은평, 중랑구 등은 주차장 확보율이 8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철역의 각 자치구 별로 편중도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호선 개통으로 조금 완화됐지만 인구 밀도가 높은 중구와 강남은 25개 지하철이 있는 반면 강북, 금천, 관악구에는 5개 이하에 불과했다.

문화복지서설도 지역별로 불균형이 심각했다. 서남권의 경우 시설 확충이 두드러졌지만 강서구는 인구 1만 명당 0.43개, 도봉구는 0.45개에 그쳤다.

사회복지시설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3배 이상 증가했지만 성동, 광진, 중랑구 등 동남권 4개 자치구에는 평균 이하의 사회복지시설을 유지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