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장기간 저금리 기조에서의 가계부채 증대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김 총재는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코리아 소사이어티 주최 강연회에서 '한국 경제전망과 정책과제'를 주제로 강연한 자리에서 "가계부채가 소득에 비해 빠르게 늘어나지 않도록 가계부채 적정화를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정책금리는 2.25%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5.9%)나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3.4%)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기준금리를 오랜 기간 유지하면 경제 자체가 저금리 의존화되고 가계와 기업의 자발적인 구조조정이 늦춰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김 총재는 정부의 총부채 상환비율(DTI) 규제와 관련해서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파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정부가 검토하는 DTI 완화가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 "DTI는 자산이 있는 계층의 담보대출을 제한하는 조치이므로 이를 완화한다고 해서 전반적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한은은 국내경기 회복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GDP성장률은 올해 1/4분기와 2/4분기에 전기대비 각각 2.1%, 1.5%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소비자물가는 2008년 4.1%에서 2009년 2.8%로 둔화된 데 이어 금년 들어서도 2%대의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경기회복 기조가 유지된다면 한은은 GDP성장률이 2011년까지 4.5%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총재는 또 향후 금융통화 정책 기조와 관련 "한국은행이 물가안정을 책임진 기관이지만 성장을 무시하고 갈 수는 없는 일"이라며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 7월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는국내외 금융·경제여건에 비추어 볼 때 '완화적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더불어 김 총재는 위기 발생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성장기반 강화와 신성장동력산업의 발굴과 육성, 가계부채의 적정화 등을 통해 내수기반을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이날 김 총재는 올 11월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금융안전망 구축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김 총재는 "향후 글로벌 금융위기의 재발을 방기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만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