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지난 1년간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시중은행의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현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440조9천341억원으로 지난해 5월 416조3천864억원보다 5.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147조6천415억원에서 171조3천572억원으로 16.1% 증가했다. 이는 예금은행의 증가율의 2.7배에 이르는 것이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액수는 예금은행에 비해 적은 수준이지만 계속해서 가파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대출을 중단, 비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더 몰려 들어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가 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럴 경우 제2금융권은 시중은행에 비해 대출금리가 높고 관리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가계부채 문제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시중은행의 대출이 막히면 급한 소비자들은 대출을 받기 위해 제2금융권, 대부업체로 이동할 수 있다면서 "특히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으로 대출 희망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가계와 제2금융권의 건전성 문제가 크게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