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우리나라 대외채무 4천억달러 육박... 증가세는 둔화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올해 2분기말 우리나라 대외채무(외채)가 4천억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증가폭은 전분기보다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내놓은 `6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우리나라 외채 잔액이 3천980억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채는 3월말보다 154억달러 늘어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증가규모는 1분기 226억달러보다 둔화됐다.

만기별로는 단기외채보다는 장기외채가 증가세를 주도했다.

단기외채는 예금취급기관은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외국인 국내 단기채권 투자가 늘면서 13억달러 소폭 증가해 1497억달러로 집계됐다. 1분기에 전분기 대비 135억달러 가량 단기외채가 늘어난 것에 비해서 크게 줄어든 것.

장기외채는 외국인의 국고채를 비롯한 국내 장기채권 투자 및 예금취급기관의 장기차입 증가 등으로 단기외채의 10배가 넘는 141억달러 늘어났다.

이에 따라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37.6%로 3월말보다 1.2%포인트 떨어졌고, 준비자산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단기외채비율도 49.2%로 3월말보다 0.5%포인트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외국인의 국고채 투자 등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펀더멘털(기초여건)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총외채는 늘었으나 증가폭이 둔화했고 단기외채비중이 줄어 외채 구조가 질적인 면에서 개선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높은 대외의존도와 무역구조 특성에 따라 경제와 무역 규모가 성장할수록 외채 규모도 증가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외채 추이와 국제금융시장, 외화자금시장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자본유출입 변동 완화에 따른 기존 제도의 탄력적 운영 등 선제적 대응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6월말 우리나라의 대외채권 잔액은 3월말보다 186억달러 늘어난 4천874억달러를 기록했다.

만기별로는 단기대외채권 증가규모(106억달러)가 장기대외채권 증가규모(80억달러)보다 많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 잔액은 895억달러로 3월말보다 32억달러 늘었다.

6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투자 잔액은 7천429억달러로 3월말보다 264억달러, 외국인투자 잔액은 8천949억달러로 274억달러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대외채권 증가는 수출 증가에 따른 무역신용 증가, 예금취급기관의 해외증권투자 증가, 통화당국의 준비자산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또 "총외채가 증가하는 것은 여전히 걱정스러우나 채권이 더 큰 폭을 늘었고 외채 비율 역시 2008년 리먼사태 때나 주요 신흥국과 비교했을 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