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시, 학교별 여건 반영한 `교육복지 지표' 개발

[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서울시교육청은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알 수 있는 통계수치를 지수화한 `교육복지 지표'를 만들어 교육격차 해소 사업 등의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27일 밝혔다.
 
종전에는 국민기초생활수급 학생 수를 기준으로 교육복지 대상 학교를 지정하거나 교육격차 해소 사업의 목적·방향에 따라 각각의 기준을 정해 사용했지만 종합적인 학교별 여건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새롭게 만드는 교육복지 지표는 `학교지표'와 `지역지표'를 반영한 것으로, 최근 3년간 저소득층가정 자녀 비율(학교지표)과 각 학교가 배정받은 지역(학구)의 저소득 인구 비율(지역지표)를 합산해 산출했다. 1인당 또는 면적당 재산세액도 참고자료로 활용했다.

이 지표를 토대로 학교별 교육복지·교육격차 실태는 10분위 값으로 매겨지며, 학교의 교육 여건·환경은 1분위(부족)에 가까울수록 열악하고 10분위(양호)에 가까울수록 양호하다.

시교육청은 학교별 교육복지 지표를 이달 말까지 확정해 지역교육청과 서울시, 자치구 등에 통보하고 행ㆍ재정 지원사업에서 참고할 계획이다.

또 다양한 교육복지 활동에 지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치구별 도서관수, 교육복지 시설, 교육경비 보조금 등의 통계도 포함시켜 계속 보완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교육복지 지표는 서울시와 자치구의 학교별 지원사업 추진에 참고자료가 되고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여타 지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