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담합이 도마위에 오른 가운데, LG그룹 측이 먼저 근절대책을 내놨다.
LG는 8일 각 계열사 CEO 주도로 담합 방지 행동 가이드라인 재정비와 책임 소재 명확화 등을 통해 LG 내에서 담합 행위를 시스템적으로 근절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CEO 명의로 담합에 대한 임직원들의 인식 전환과 방지 시스템 재정비, 책임소재 명확화를 요지로 한 메시지를 전 임직원 개개인에게 보낼 계획이다.
이날 구본무 회장은 "사업 방식에 있어서 반드시 정도경영을 지켜야 한다. 고객의 신뢰를 저버리는 담합 행위는 사회적 이슈에 앞서 우리 스스로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문제다"며 담합 근절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재차 표명했다.
이에 앞서, 구 회장은 지난 2일 신임임원교육에서도 "고객의 신뢰를 저버리고 사업의 근간을 흔드는 담합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다"고 강도 높게 역설했다.
LG는 우선 담합 근절 기업문화 구축을 위해 담합 방지 시스템을 재정비, 강화하기로 했다.
각 계열사 법무팀, 공정문화팀 등 컴플라이언스팀 주관으로 임직원들이 단기적인 성과를 우선시해 담합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인식을 전환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교육을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
또 임직원들에게 체계적인 담합 방지 행동 가이드라인을 숙지시키고, 가이드라인 위반 여부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과 불시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담합 방지 실천 서약서를 주기적으로 작성케 함으로써 담합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기로 했다.
담합 행위가 벌어졌을 경우에는 실무자부터 경영진까지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 문책 원칙을 적용키로 했다.
담합 행위를 한 실무자를 징계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임원과 사업부장도 담합 사실을 인지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징계 조치해 실무자에 대한 담합 방지 관리 책임을 묻는다.
CEO와 사업본부장에 대해서는 중요한 인사 평가 항목으로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현재까지 담합 근절을 위한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부터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매년 담합행위가 적발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삼성 측은 담합의 근본적인 원인을 점검하고 이달말 종합적인 담합 근절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힌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