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오는 상반기 4대강 본류구간 준공을 앞두고 창녕함안보의 세굴, 바닥보호공 유실 등의 문제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 전 구간에 걸쳐 민관합동 형태로 특별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올해 6월 4대강 본류 사업의 준공을 앞두고 보·수문·바닥보호공·하상유지공 등 주요 시설물의 사전 점검과 미비점을 발굴·보완하기 위해 민관 합동 특별점검단을 구성, 오는 27일부터 점검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다음달 중순, 늦어도 다음달 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점검은 보의 누수, 바닥보호공 유실 등 4대강 추진과정에서 문제로 제기되었거나 유지관리 단계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며, 특히 물에 잠겨 보이지 않는 하천 바닥의 변동현황이나 수중 시설물은 음향측심기와 3차원 음향 영상탐사
등을 실시해 세굴, 시설물 변형, 침하여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조사는 준공검사에 준하여 철저하게 진행하고, 조사 결과 드러난 구조 결함과 지반 안정성 등의 문제는 전문가에게 의뢰해 기술검토를 할 방침이라고 국토부는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번 점검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시공회사에 보완을 지시하고 시공사는 책임감리원의 확인을 받아 준공 검사원을 제출하도록 해 4대강 준공 전에 미비점을 모두 보완키로 했다.
점검단에는 총 93명이 참여하며, 이 가운데 대학교수와 한국시설안전공단 등 전문기관, 엔지니어링 업계 전문가 등 44명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됐다.
국토부는 점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총괄 단장과 4대강별 점검단장을 모두 민간 전문가에게 맡기고 점검단 운영과 현장 진행 등을 점검단장이 주관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점검단에 4대강 사업에 비판적이거나 반대하는 시민단체나 전문가는 포함하지 않아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홍형표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부본부장은 "점검단은 4대강 점검 관련 필요한 기술적 지식을 보유한 전문가중 최대한 중립적인 의견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했다"며 "반대론자들은 기본적인 시각차이가 너무 커 배제했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16개 보 구조물은 대부분 4월말(강정고령보는 9월)까지 미비점을 보완한 뒤 관리기관인 수자원공사에 이관할 예정이며 6월까지 본류구간의 준공을, 올해 말까지 지류를 포함한 4대강 전 구간의 준공을 마친다는 방침이다.
권도엽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4대강과 관련해 각종 전문가, 시민단체, 언론 등을 통해 제기되는 문제는 주간 단위로 정례브리핑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 국가적 중대 프로젝트인만큼 국민과 상호 교감하면서 완벽하게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