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5·24 대북제재 조치 속에서도 올해 1∼2월 남북교역 규모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천안함·연평도 사태 이후 5·24 대북제재 조치를 단행하면서 개성공단을 제외한 대북 일반교역과 위탁가공교역을 모두 중단시킨 바 있다.
하지만 개성공단을 통한 교역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남북교역이 크게 늘어난 것.
16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2월 남북교역액은 3억2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2억3천500만 달러보다 36%나 증가했다.
1∼2월 남북교역을 항목별로 보면, 대북 반출이 1억6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1억800만 달러보다 48%나 급증했고, 대북 반입도 1억6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1억2천600만 달러보다 25% 늘어났다.
남북관계 경색에도 남북교역이 이처럼 늘어난 것은 개성공단을 매개로 한 남북교역이 올해 들어서도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을 통한 남북교역은 남쪽에서 주로 의류 생산용 원부자재와 생산설비를 보내고, 북쪽에서는 의류완제품 등을 남쪽으로 보내는 형태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1∼2월 남북교역을 품목별로 보면 대북 반출의 경우 의류 원부자재 등 섬유제품이 5천2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전기·전자제품(4천900만 달러), 기계(2천900만 달러)가 뒤를 이었다.
반입도 의류 완제품 등 섬유제품(6천600만 달러), 전기·전자(5천만 달러), 기계(900만 달러) 등으로 같은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