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형제재소 제재목 “덤핑이다”“아니다”

군산목재조합,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고 대응에 나설 것”

 

중소형 제재소들이 대형 제재소들의 제재목 덤핑에 맞서 집단행동에 나섰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은 원가 경쟁력이 높은 것일 뿐 덤핑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군산목재조합(조합장 김상수)은 지난 20일 등기우편을 통해 유니드와 한솔홈데코 사장 앞으로 각각 ‘덤핑 판매 금지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조합에 따르면 선창이나 광원목재, 동화기업, 유니드, 한솔홈데코 등 목질 보드류 생산업체들이 대형 제재설비로 직접 제재목을 생산하거나 외주 제작하면서 제재목 시장 가격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들 업체들의 주목적은 제재목 생산이 아니라 MDF 등 보드류 생산을 위한 원재료 확보에 있다는 것. 때문에 제재목이 주생산품인 중소형 제재소에 비해 월등히 싼 가격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는 게 조합의 설명이다.


특히 지금과 같은 봄철에는 겨우내 쌓아두었던 대형 제재소들의 재고가 한꺼번에 시장에 출시되면서 원가 이하의 제품들이 대량 유통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중소 제재업체들은 사활이 달린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같은 제재목 가격 왜곡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중소기업청이나 공정거래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에 재소 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대응에 나서겠다는 게 조합의 입장이다.


조합 전종진 상무는 “대형 제재소들은 제재목을 생산하는 게 아니라 MDF의 원료인 피목을 생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원목 가격을 생각하면 재(才, 1재는 0.00324㎥)당 적어도 900원에서 950원은 받아야 할 제재목들이 지금 800원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때문에 군산에 있는 중소 제재소들도 여기에 맞추기 위해서 850원에서 870원에 물건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전 상무는 또 “이러한 문제를 개선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이번 요청서를 보낸 것”이라며 “우리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중소기업청과, 공정거래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 등에 재소하는 등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해당 기업들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유니드 담당자는 대량생산 등으로 인한 원가 경쟁력이 있을 뿐이지 적자를 보면서까지 파는 덤핑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조합의 공문발송 타깃도 잘 못 됐다는 분석이다. 제재목 생산량에 있어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면서 시장가격 결정권까지 갖추고 있는 인천 업체들은 놔둔 채 군산과 익산 업체들에게만 요청서를 보낸 것은 실효성도 없다는 것.


유니드 관계자는 “군산과 익산 대형제재소 생산량을 합쳐봐야 인천에 있는 한 개 업체 생산량의 절반 수준으로 알고 있다. 재고량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가격 결정권도 인천기업들이 쥐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1,2위 업체들에게는 (요청서를) 안 보내고 4,5위 업체만 흔드는 것은 이해하기 힘든 행동”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제재목이라는 것이 원래 날씨에 따라 빠르면 1주일만에도 변색 등 하자가 발생하는 제품이다”며 “상품가치가 떨어지기 전에 싸게라도 팔아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모든 것을 ‘덤핑’이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솔홈데코 관계자는 24일 현재 “공문을 받지 못한 상태”라며 “접수되는 대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조합은 또 공정위 재소 등 후속조치는 이번에 공문을 보낸 유니드와 한솔홈데코 뿐 아니라 모든 대형 제재소를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전해왔다.
서범석 기자 seo@imwood.co.kr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