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3.0%→2.7% 하향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모두 하향조정했다. 특히 올해 전망치를 2%대로 낮춰잡아 우리 경제의 2%대 성장률을 기정사실화했다.

IMF는 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보고서(WEO)'에서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을 2.7%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연례협의 최종보고서에서 밝혔던 3.0%에서 0.3%포인트 하향조정한 것이다.

내년 성장률도 3.6%로 지난번 보고서에서 제시했던 전망치(3.9%)보다 0.3%포인트 내렸다.

이에 따라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각각 3.5%, 4.0%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힌 지 약 6개월만에 각각 0.8%포인트, 0.4%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번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은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다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는 "지난 1분기 세계 경제가 다소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2분기 들어 또다시 둔화 조짐을 보였다"면서 "특히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성장세가 주춤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각각 3.3%와 3.6%로 제시, 지난 7월 WEO의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와 0.3%포인트 낮췄다.

IMF는 성장 둔화 요인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금융부문 불안 심화와 함께 아시아와 남미지역의 국내 수요 부진, 미국의 성장 둔화 등을 꼽았다.

올해 선진국 진영의 성장률 전망치는 1.3%로 0.1%포인트 낮아졌고, 내년 전망치도 1.5%로 0.3%포인트 하향조정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2.2%로 지난번 보고서보다 0.1%포인트 상향조정됐지만 내년 전망치는 2.1%로 오히려 0.1%포인트 낮아졌다.

유로존은 올해 0.4%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내년에는 0.2% 성장할 것으로 예상, 지난번 보고서에 비해 각각 0.1%포인트와 0.5%포인트 하향조정했다.

특히 이탈리아(-2.3%, -0.7%)와 스페인(-1.5%, -1.3%)은 올해와 내년 모두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2.2%와 1.2%로 지난번 보고서에 비해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하향조정됐다.

세계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은 올해와 내년 각각 7.8%와 8.2%의 고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난번 보고서에 비해서는 각각 0.2%포인트 낮췄다.

인도의 경우는 전망치가 올해와 내년 4.9%와 6.0%로, 무려 1.3%포인트와 0.6%포인트나 하향조정됐다.

IMF는 "이번 전망치는 유럽 당국이 유로존의 위기를 해결하고 미국 당국이 이른바 `재정절벽(fiscal cliff)' 문제에서 벗어난다는 가정 하에서 나온 것"이라면서 "만약 실패한다면 성장 전망은 더 악화될 수 있다"며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을 경고했다.

또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각각 2.2%와 2.7%로 예상했으며, 실업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3.3%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