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정부는 올해도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일자리 창출과 물가 안정에 주력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7일 펴낸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소비가 부진하다고 진단했다. 또 대외 여건은 미국의 재정지출 자동삭감 유예가 이달 말 끝나는데다가 유럽 경제의 회복이 지연돼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봤다.
12월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2%포인트 하락했다.
1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로 1.1% 감소했고, 업태별 판매도 백화점(-8.5%), 대형마트(-4.6%), 전문상품소매점(-0.2%), 무점포판매(-1.3%)에서 모두 감소했다.
국내 1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2%로 상승했고, 전세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재부는 1월에도 소비, 광공업 생산, 투자 지표가 좋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설 연휴가 2월에 있는 탓에 1월 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끝나 자동차 판매 증가세가 둔화하고,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 IT 등 주요 품목의 수출증가율 둔화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수주 등 선행지표가 부진하고, 건설투자는 주택시장 회복이 늦어져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1월 경상수지는 무역수지 흑자(8조7000억 달러)를 기록했을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