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선택적 디폴트', 기로에 선 베네수엘라 …국가부도위기

베네수엘라 디폴트

정국 불안으로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베네수엘라가 13일(이하 현지시간) 국채 이자를 내지 못하면서 '선택적 디폴트(SD)'로 강등됐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4일(이하 현지시간) 채무 불이행 위기에 놓인 베네수엘라의 국가 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SD·Selective Default)로 강등했다고 밝혔다.

S&P는 베네수엘라가 각각 2019년, 2024년 만기인 채권의 이자 2억 달러를 지급하지 못한 데 따라 장기 외화표시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CC'에서 두 단계 하향했다고 설명했다.

베네수엘라 신용등급을 디폴트 수준으로 내린 것은 S&P가 처음이다.

선택적 디폴트는 채무 일부에서 부도가 발생했으나 다른 채권에서는 지속적 상환 가능성이 있음을 뜻하며, 상황에 따라 '지급불능'을 뜻하는 D(default)로 강등될 수 있다.

앞서 국제신용평가기관인 피치는 베네수엘라가 채무조정 회의를 소집하자 장기 국채 신용등급을 'CC'에서 투기등급 수준인 'C'로 하향 조정하고 채권 상환이 지연되고 있어 디폴트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고 경고했다.

피치와 무디스는 또 베네수엘라의 대표 국영석유기업 PDVSA가 만기 도래한 채권 이자를 뒤늦게 지급하자 '디폴트' 등급으로 강등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비록 베네수엘라가 아직 완전한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는 아니지만 결국 디폴트를 피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베네수엘라 신용등급

현재 베네수엘라가 보유한 채권 규모는 1000억~1500억달러(약 111조~167조원)로 추정되지만 국고에 남은 외환은 100억달러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베네수엘라는 시장에 거래되는 국채 외에도 중국과 러시아에 갚을 돈이 있다.

베네수엘라에서는 정치적 긴장에 따른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총부채가 1천500억 달러(약 167조3천억 원)로 불어났으나 보유 외환은 100억 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디폴트를 모면하고자 13일(현지시간) 수도 카라카스에서 100여 명의 채권자와 대리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채무조정 회의를 열고 채무조정에 나섰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 600억 달러(67조3천억 원)에 달하는 투기등급 채권의 채무조정 협상이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해외 채권 재융자 작업이 성공적으로 시작됐다"면서 미국의 제국주의적 금융제재와 함께 국제신용평가기관의 평가를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국, 파나마, 영국, 콜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일본에서 온 채권자 100여 명이 채무 재조정 회의에 참석했다"며 "채권 재융자 작업의 시작은 우리가 예전에 모든 의무를 이행했던 것처럼 우리의 충실한 준수 의향을 실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 금융계는 미국의 강력한 금융제재 속에 베네수엘라 정부가 어떻게 디폴트를 피하고 재융자를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