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 3법 시행이 추진되면서 수도권 전세 시장에서 전세값 상승과 함께 매물 품귀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서울에서 아파트 전세 계약이 9년 만에 최소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전세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전·월세 거래량은 세입자의 확정일자 신고를 토대로 집계되어 추가로 신고될 가능성은 있지만 이런 추세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전세 씨 말랐다’…7월 서울 아파트 전세계약 ‘반토막’
3일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성사된 아파트 전세 계약은 6천304건으로 나타났다. 올해 최다를 기록했던 2월(1만3천661건)과 비교하면 46% 수준이다.
특히 서울시가 관련 통계를 제공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6천건대로 떨어졌다.
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도 전세나 월세 계약 건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달 서울 다세대·연립주택의 전·월세 거래량은 5천714건으로 2개월 연속 줄면서 5월(8천778건)의 3분의 2에도 미치지 못했다.
경기도 역시 주택 임대 시장이 급속한 속도로 위축됐다. 경기부동산포털에 올라온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2월에 2만7천103건으로 최다를 기록한 이래 계속 줄어 지난달에는 1만2천326건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경기에서 성사된 다세대·연립주택 전·월세 계약은 2천614건으로 2월(4천819건)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패닉바잉에 서울 아파트 매매량 역대 3번째
반면, 임대 시장과 달리 매매 시장은 달아올랐다. 나날이 치솟는 집값에 불안감을 느낀 '패닉 바잉'(공황 구매)이 가세하면서 6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량은 1만5천589건으로 2006년 10월(1만9천798건)과 11월(1만5천757건)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많았다.
경기의 6월 아파트 매매도 3만4천950건으로 2006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았다.
서울과 경기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도 6월에 각각 6천263건, 6천552건으로 2008년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

▲임대 시장 위축…임대차3법에 전세 매물 급감, 거래절벽 현실화
임대 시장의 위축은 지난달 정부가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 전월세신고제를 추진하면서 더 심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임차인에게 4년 거주를 보장하고 임대료 인상을 5% 이내에 묶는 방안의 도입이 확실시되면서 전셋값은 치솟고 전세 매물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임대시장의 대변화를 예고한 법안이 일사천리로 통과된 데 이어 전격 시행에 들어가면서 전세 매물이 아예 없는 단지가 나오는 등 거래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달 7·10 대책을 통해 4년짜리 단기 임대와 아파트 장기일반매입 임대를 폐지하는 방안이 발표되면서 임대 시장이 더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전셋값이 올라가면서 갭투자나 대출을 끼고 내 집 마련을 한 실수요자들이 증가하면서 매매는 늘었다"면서 "매매 시장과 달리 임대 시장은 전반적으로 축소하는 가운데, 보유세 부담이 커진 집주인들이 전세를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