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질병청·KIST, 미래 감염병 대응 위한 공동연구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대비한 과학적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질병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SIT)이 협력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KIST와 분야별 전문가 조직을 구성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두 기관은 새로운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 전문연구진의 비상 대응체계를 동원하고 비상정책을 빠르게 수립할 역량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뜻을 같이했다.

이날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코로나 19 대응 경험과 과학적 근거를 통해 미래 감염병 예측 방법을 공유했다.

특히 영국 보건 안전청의 최윤홍 수석연구원과 미국 국립보건원, 중국 저장대, 세계은행 소속 전문가들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각국 정부의 과학 기반 연구 사례를 소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최 수석연구원은 영국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소아 백일해 재유행에 대응하는 백신 정책을 펼친 사례를 들며 "과학 기반의 모델링은 방역 정책의 장단기적 효과를 분석하며 효율적이고 투명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코로나19·인플루엔자 예측 시나리오 활용, 중국의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통한 호흡기감염병 전파 분석, 세계은행의 팬데믹 대응 데이터 인프라 구축 사례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기념사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가변적 특성과 사회적 행태 변화로 인해 정확한 예측이나 중장기 전망에 한계가 있었다"며 "인공지능과 같은 과학기술과 수리적 모형을 활용하고 협업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크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로고
질병관리청 로고 [자료=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