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표준연, 체내 지방 측정용 고성능 표준물질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최근 MRI와 CT 촬영 등 정밀진단에서 체내 지방 측정 정확성을 높일 의료영상기기용 표준물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물과 지방을 혼합해 만든 유화 표준물질로, 의료영상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도구인 ‘팬텀’에 삽입되어 지방량 측정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표준물질 내 수분을 분석해 지방량을 산출하면 이를 체내 상황과 비교해 분석하게 된다.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으로는 조직검사가 있으나, 실제로 몸에 바늘 등을 삽입해 조직을 긁어내는 침습 방식이기에 최근에는 MRI 등 영상으로 판단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다만 의료영상기기의 경우 지방량 측정값이 기기마다 다른 산출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의사가 경험과 감각에 의존해 보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의료영상기기용 표준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의료영상기기용 표준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이에 KRISS는 측정값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물을 완전히 제거한 표준물질을 개발해 안정성과 균질성이 뛰어난 솔루션을 개발했다.

KRISS는 해당 표준물질을 통해 기기 측정값의 유효성과 신뢰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KRISS 관계자는 “최근 현대인들에게 큰 위협이 되는 비만과 지방간 등의 치료제 개발에서도 정확한 지방량 측정값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신약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서 이번 표준물질은 빅데이터의 기준점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글로벌 측정표준 분야 국제 학술지 '메트롤로지아'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