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DI "물가에 강수량 영향 커…근원물가 변동 미미"

소비자물가에 대한 날씨의 영향력이 여름철 강수량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날씨 충격이 근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만큼 통화정책이 일시적 신선식품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9일 현안 분석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번 분석은 최근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식품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통화정책 대응 여부에 대한 논쟁이 촉발됐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날씨 충격을 기온과 강수량의 과거 추세 대비 격차로 정의하고 동월 평균과 표준편차를 표준화해 계산했다.

분석 기간은 2003년 1월부터 작년 12월까지 20여년간이다.

분석 결과 표준화 값으로 산출한 기온이 과거 추세 대비 10℃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04%p 높아졌다.

분석 기간 중 전월을 통틀어 월평균 기온의 표준편차는 9.2℃였는데, 이 추세에서 벗어난 경우 물가 상승률이 더 높아졌다는 의미다.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 늘거나 감소하는 경우엔 물가 상승률은 0.07%p 높아져 기온보다 영향력이 컸다.

날씨가 전체 물가에 미치는 충격은 신선식품물가 상승을 통해서였다. 근원물가의 반응은 미미했다고 이 연구위원은 밝혔다.

다만 기온과 강수량 충격 모두 1∼2개월 정도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영향은 단기에 그쳤다. 이는 날씨 충격이 한 달만 발생한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그 이상 지속될 경우 영향력은 더 커질 수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날씨 충격 발생 2개월 후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하나 3개월부터는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 날씨 충격은 소비자물가 상승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위원은 계절별로 과거 추세 대비 강수량의 증감 여부에 따른 분석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여름철 강수량이 과거 추세보다 많거나 적을 때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여름철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 증가하는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단기적으로 0.09%p 높아졌다. 과거 추세보다 100㎜ 감소하면 물가 상승률은 0.08%p 높아졌다.

물가
[연합뉴스 제공]

반면 여름철 기온은 이례적으로 높거나 낮아도 전체 물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여름철 외 다른 계절에서도 날씨 충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 연구위원은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 변동이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의 변동이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를 확산해 근원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다.

신선식품 등 식료품 및 에너지 물가의 충격으로 나타난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의 차이는 소비자물가가 근원물가에 점차 회귀함으로써 2년 후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근원물가가 소비자물가를 따라가는 경향은 미약한 것으로 추정됐다.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이 변동해 전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더라도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지구 온난화로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집중호우, 가뭄 등 기상 여건이 빈번하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변화의 강도도 확대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단기적인 물가 불안이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도 "일시적인 신선식품 가격의 급등이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물가 상승을 유발하겠으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며 "일시적인 신선식품 가격 변동에 통화정책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기상 여건 변화에 따른 신선식품가격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으로만 영향을 미침을 뜻하며, 따라서 중기적 관점에서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통화정책이 작황 부진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응할 필요성이 낮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