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은 "치솟은 환율 올해 하반기 물가 끌어올린다"

앞으로 환율이 다소 하락하더라도 올해 하반기까지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7일 발표한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환율 변화에 따른 장·단기 물가 전가 효과를 추정했다.

패널 고정 효과 모형 분석에 따르면 환율 변동률이 10%p 상승한 후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0.47%p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반 3개월(단기)의 전가 효과가 0.28%p, 이후 4~12개월(장기)의 전가 효과가 0.19%p로 각각 측정됐다.

단기 효과가 장기 효과보다 큰 셈이다.

소비자물가 전가는 환율 변동 후 9개월 지난 달에 최대를 기록하고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환율
[연합뉴스 제공]

다만, 최근과 같이 환율이 급등해 3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를 분석한 결과, 단기 효과가 0.31%p, 장기 효과가 1.30%p로 오히려 장기 효과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격을 동결하던 기업들이 고환율 장기화로 뒤늦게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환율의 물가 전가 효과가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와 별도로 환율 변화의 품목별 영향도 함께 분석했다.

먼저 환율 변동 후 3개월 안에 물가가 움직이는 품목 45개를 단기 민감 품목, 이후 9개월 동안 천천히 움직이는 품목 73개를 장기 민감 품목으로 분류했다.

이어 각 품목의 가격을 가중 합산해 환율 단기 민감 물가와 환율 장기 민감 물가를 산출하고 두 지표의 흐름을 비교했다.

추정 결과, 단기민감 품목은 45개로 에너지, 식료품 등 비근원품목이 절반 정도를 차지했으며 장기민감 품목은 73개로 외식, 여타 개인서비스 등 비교적 가격의 지속성이 높은 서비스 품목의 비중이 높았다.

환율 급등기에는 환율 단기 민감 물가가 크게 급등락한 반면에 환율 장기 민감 물가는 등락폭이 훨씬 작으면서도 시차를 두고 오랫동안 환율 영향을 받았다.

환율 변동시 가격 상승률이 크게 반응하는 품목일수록 중간투입액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최근과 같이 환율 급등기를 대상으로 보면 환율 단기민감물가는 빠르게 급등락하는 모습을 나타낸 반면 환율 장기민감물가는 같은 기간중 등락폭은 훨씬
작으면서도 시차를 두고 환율 영향이 오랜 기간 나타났다.

한편 비민감 품목의 경우 환율민감 품목에 비해 가격 상승률의 변동성이 크지 않았다.

연구팀은 결론적으로 "향후 환율이 다소 하락해도 그간 환율이 급등했던 것이 올해 하반기에도 잠재적인 물가 상승 요인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