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OECD, ‘2011~2017년 한국 경제성장률 3위’ 전망

한국이 오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고도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2017년 한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장기금리가 최고조에 달해 서민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부정적 예측도 함께였다.

2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중장기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011년~2017년에 평균 4.9%를 기록하며 룩셈부르크(5.5%), 슬로바키아(5.3%)에 이어 30개 회원국 중 3위에 오른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경제위기를 극복한 이후라는 전제가 있지만 우리 정부가 예측한 잠재성장률 4.0%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OECD는 한국의 실업률 또한 회원국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의 실업률은 2010년 3.9%에서 2017년에는 3.5%까지 떨어지면서 멕시코(3.2%)에 이어 2번째로 고용형편이 좋은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OECD는 지난 24일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한국 경제가 올해 -2.2%, 내년 3.5%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의 건실한 펀더멘탈을 고려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고 풀이된다.

OECD는 올해까지 우리 경제가 경기침체로 시련을 겪겠지만 내년부터 본격적인 회복에 가속도를 붙여 2017년까지 최고의 성장세를 구가할 것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한 것이다.

하지만 경제성장률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경고도 뒤따랐다. OECD는 이 같은 한국 경제의 재도약에도 중장기적으로 물가 상승과 고금리가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OECD는 한국은 2010년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2.0%로 회원국 가운데 5번째로 높을 것으로 봤으며, 2017년에 이르면 3.0%로 멕시코(3.2%)에 이어 룩셈부르크와 함께 물가 상승률이 2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담보대출 등을 의미하는 장기금리 또한 한국은 2010년 5.4%로 회원국 중 6번째로 높았으나 2017년에는 7.0%로 아이슬란드와 함께 가장 금리가 높은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스위스(3.1%), 일본(3.3%)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금리로 서민생활에 적지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