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완전히 뜯어고쳐야 한다"
대입 자율화 등 입시정책 변화,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 등에 발맞춰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를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김성열)은 올해 수능시험 도입 15주년을 맞아 11일 서울 삼청동 평가원 대회의실에서 '수능시험의 현안과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기조발제자로 나선 이종승 충남대 교수(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는 암기 위주의 평가로 혹평받던 대입 학력고사의 대안으로 1994년 도입된 수능시험이 본래의 취지를 상실했다며 획기적인 개선책을 요구했다.
그는 "사고력 중심의 평가였던 수능이 현재는 종전의 학력고사와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며 "특히 수능 체제와 교육 현실의 괴리, 방대한 출제인원이 한 장소에 장기간 갇혀있어야 하는 출제 방식의 문제, 기출문제 논란, 객관식 선다형 출제에 따른 문제풀이식 학습 조장 등이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를 해결키 위해 수능 유형을 기초 수학능력검사와 교과목별 학업성취도 검사로 이원화하고 고교 2학년부터 응시자격을 부여하고 시험을 연 2회 실시해 응시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숙 경인교대 교수(한국교육과정학회장)는 '수능시험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평가권과 선발권의 분리가 필요하다"며 "평가권은 고교가, 선발권은 대학이 가짐으로써 고교에서 학교 공부에 충실하지 않으면 대학가기 어렵다는 인식을 심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는 "대입 전형에서 평가권과 선발권의 분리를 제안한다. 평가권은 고교가, 대학은 선발권을 가짐으로써 고교에서 선생님에게 잘 보이고 학교 공부에 충실하지 않으면 대학가기 어렵다고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주제발표자로 참석한 이종재 서울대 교수(전 한국교육개발원장)는 "시험의 목적을 변별보다는 기준 달성에 두고 시험의 비중을 줄여 1차 전형 자료 혹은 최소 자격 기준 등으로 기능을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시험을 이원화해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따라 출제하는 언어ㆍ수리ㆍ외국어 중심의 `기초 수학능력시험'과 성취 기준에 연계한 사고력 중심의 `표준화 기초학력시험'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