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9월 IT수출 122.4억 달러, 사상최대 64.3억 달러 흑자

지식경제부는 9월 IT수출이 전년 동월대비 0.8% 증가한 122.4억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1년 만에 수출 증가로 전환됐다.

또한 지난 1996년 IT산업통계작성 이후 역대 3번째의 수출액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2007.10월(62.9억 달러 흑자) 이후 1년 11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인 64.3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9월 IT수입은 전자부품 35.9억 달러, 컴퓨터 및 주변기기 6.1억 달러 등 주요 품목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13.6% 감소한 58.1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3대 수출품목별로 보면, 반도체(36억 달러, 22.3%)는 PC시장 회복과 국내 비교 우위 품목인 DDR3의 채용비중 확대로 2008.6월 이후 15개월 만에 성장세를 회복했다. D램은 경쟁 업체의 부진 속에 PC시장 회복과 국내 비교 우위 품목인 DDR3의 채용 비중 확대로 전년 동월대비 10.1% 증가한 9.4억 달러를 기록했다.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및 메모리카드 등 전방 시장 회복으로 전년 동월대비 245.5% 증가한 6억 달러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패널(26.3억 달러, 4.2%)은 중국 등 해외 각국의 수요 진작 정책과 이에 맞물린 TV와 같은 전방 세트 시장 성장으로 지난달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휴대폰(25.2억 달러, △22.5%) 수출은 글로벌 시장 축소와 신흥시장 진출,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내 업체의 해외 생산 비중 확대로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홍콩포함) 55.2억 달러, EU 15.5억 달러, 미국 13.3억 달러 ,일본 6.8억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향후 IT수출은 주요국의 경기 부양효과가 가시화됨에 따른 국내외 경기 회복으로 수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지경부는 전망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특히 패널은 가격 안정화, TV 등 세트 제품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반도체는 윈도우 7 출시, DDR3 D램의 채용 비중 확대로 4/4분기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며 “다만 환율의 절상 가능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점은 수출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