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해 북한에게 책임을 묻기 위한 정부의 외교 총력전이 시작됐다.
정부는 28일 한·중 정상회담, 29~30일 한·일·중 정상회의, 6월 4~5일 아시아안보회의를 통해 천안함 사건 조사 결과를 관계국에 설명하고 국제사회의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그 첫번째 행보로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의 한·중 정상회담을 열고 중국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등을 통한 대북제재에 동참하도록 설득하는데 주력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400여장에 달하는 민·군합동조사단의 천안함 조사 자료를 중국측에 보냈으며, 중국측은 현재 조사결과를 분석하는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러시아에 이어 중국측에 천안함 사건 조사 결과를 검토할 전문가팀을 파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 자리에서는 전문가팀 파견 여부와 천안함 사건 조사 결과에 대한 중국측의 자체 분석 설명, 그리고 이에 따른 원자바오 총리의 입장 표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한·중 정상회담에서 천안함 문제가 남북만이 아닌 국제사회 전체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중국측의 협력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우리 목표는 남북 대결이나 북한의 고립화, 붕괴가 아니다"며 "잘못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물으며 다시는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 목표고, 대통령도 이런 기조로 한·중 정상회담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과 원자바오 총리는 오후 2시45분 부터 30분간 단독회담을 진행했으며 오후 3시15분 부터는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 천더민 상무부장 등이 참석하는 확대회담을 진행했다.
정부는 한·중 정상회의 단독회담과 확대회담 결과를 토대로 29일부터 이틀간 제주에서 개막되는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천안함 관련 3국 협력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3국 정상들은 천안함과 북한 핵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정세 뿐만 아니라 G20정상회의, 3국 협력사무국 설치, 군축비확산,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다.
이 대통령은 한·일·중 정상회의에 앞서 하토야마 유키오(鳩山 由紀夫) 일본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열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