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여야가 극과 극의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15일 이명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와 관련, "'함께 가는 국민, 더 큰 대한민국'을 역설한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본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논평을 내고 "특히 '공정한 사회' 구현을 강조한 것은 계층이동의 사다리가 좁아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화두를 제시한 것으로 환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대변인은 "대한민국은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바탕으로 2세대 만에 산업화, 민주화를 이뤄내 세계로부터 현대사의 기적이라는 부러움을 받고 있다"며 "이제 남은 과제는 국민대통합과 선진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통일문제와 관련해 평화공동체, 경제공동체, 민족공동체의 과정을 제시한 것은 매우 현실적인 제안으로 평가한다"며 "국회 등 우리 사회 전반에서 이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지지했다.
안 대변인은 끝으로 "우리 민족에게 8·15 광복절은 과거의 의미를 되새기며 미래로 가는 문"이라며 "한나라당은 조국 광복을 위해 온 몸을 바치신 애국선열들의 뜻을 되새기며, 그들이 꿈꾸었을 '다 함께 잘 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야권은 이명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진정성이 결여됐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조영택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한마디로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고 공허한 말뿐인 경축사였다"며 "진정성이 결여되고 인위적인 의도를 풍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 대변인은 "독식과 오만의 인사, 인권유린의 공권력 운용 등의 정치 행태를 보여온 MB 정권은 국민화합과 정치 선진화를 주장할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날 이 대통령의 남북통일을 대비한 통일세 신설 제안에 대해서는 "뜬금없는 주장을 할 것이 아니라 인도적 대북 쌀 지원 등을 우선 선행하고,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의 이행의지를 밝히면서 비핵개방 3000 정책 수정 등 인식과 사고의 전환을 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도 "오만과 독선의 일방독주 국정운영에 대한 자기 성찰과 반성이 없는 기념사였다"고 비판했다.
우위영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공정한 사회를 말하는 것은 결국 대통령이 극소수 부자와 재벌들에게만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고 감세 등을 소수 부자와 재벌에게만 집중하고 있는 부자중심 실용정부의 정체성만 뻔뻔하게 실토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또 이 대통령이 제안한 통일세는 분단세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