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의 내홍으로 때아닌 위기를 겪고 있는 신한금융 이사회가 오늘 개최됨에 따라 국내·외 사외이사들의 표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가 장기전 양상을 띠며 이번 이사회 결정에 따라 금융당국의 조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신한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날로 예정된 신한지주 이사회는 아직 구체적인 안건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재일교포 원로 주주들의 모임인 '간친회'가 지난 9일 '모든 권한을 이사회에 일임하겠다'고 의견을 모은 뒤 신한지주는 이사회 날짜만 확정했을 뿐 안건은 특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사회에서는 신상훈 사장에 대한 해임안 상정 여부를 비롯해 신한사태 해결을 위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신 사장에 대한 해임안이 이사회에 상정될 지, 상정된다면 과연 통과될 지 여부가 최대 관심이다.
이사회에서 신 사장 해임 안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사외이사를 포함해 총 12명의 이사 중 7명 이상이 참석해 그 중 절반 이상의 찬성을 이끌어 내야한다.
현재로선 라응찬 회장 측은 본인을 포함해 비상근 이사인 이백순 행장, 류시열 법무법인 세종 고문, 국내 사외이사 3명 등 총 6표 정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위성호 부사장이 홍콩을 방문해 단일 최대 주주인 프랑스 투자은행 BNP파리바그룹의 필립 아기니에 본부장(신한금융 사외이사)을 만나 신 사장을 검찰에 고소하게 된 배경과 해임 당위성을 설명한 후 참석 의사를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재일교포 사외이사들의 의중이다. 재일교포 사외이사는 김요구 삼양물산 대표, 김휘묵 삼경인벡스 전무, 정행남 재일한국상공회의소 고문, 히라카와 요지 선이스트플레이스코포레이션 대표 등 4명이다.
신 사장 측에서는 "재일교포 사외이사들의 뜻은 변하지 않았다"며 이들의 지지를 자신하고 있다. 현재로선 이들 4명을 포함해 5표 정도가 신 사장 측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재일동포 주주들 사이에서는 아직까지 신 사장에 대한 동정론이 남아 있어 사외이사들이 섣불리 표대결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임보다는 한 단계 낮은 직무정지 등 징계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신한금융의 입장에서 최악의 사태는 이사회에서 어떠한 결론도 도출되지 못할 경우다. 이렇게 되면 `신한금융사태`는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어 끝모를 전투를 치뤄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만약 사태가 장기화로 치달을 수록 신 사장의 퇴출을 강행한 라 회장과 이 행장의 책임론은 더욱 무거워질 것"이라며 "이에 따른 신한금융을 둘러싼 금융권 전반의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