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9.10 부동산대책이 나온 이후 아파트 거래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보통 거래가 잘 되면 집주인들이 싼 값에 내놓은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높여 시세를 끌어올리는 일이 일반적이지만,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는 이같은 상식이 통하지 않고 있다.
1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거래건수는 9월 2122건, 10월 3944건, 11월(12일 현재) 1247건으로 각각 집계돼 지난 9월24일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이 시행된 이후부터 주택 거래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들어서는 10월보다 거래가 다소 주춤한 모습이지만 9.10대책 시행 이전보다는 상황이 낫다.
하지만 가격 동향은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결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취득세 감면이 확정된 9월 마지막주 이후에도 6주 연속 하락했으며, 하락률도 0.02%, 0.04%, 0.05%, 0.05%, 0.06%, 0.06% 등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에서도 서울의 전체 주택 매매가격은 9월 0.4%, 10월 0.4% 각각 떨어져 하락세가 여전하고, 수도권 매매가격도 똑같이 9월 0.4%, 10월 0.4% 각각 하락했다.
이같은 이상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최근 거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근본적으로 주택경기가 회복된 것으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여전히 근본적인 주택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낮은 것이다.
오히려 취득세율이 원상 복귀되는 내년 초에는 주택거래가 다시 당분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가격을 무리하게 높이기보다는 조금이라도 매수세가 있을 때 얼른 팔아치우고 싶어하는 매도인들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다보니 9.10 대책 발표 이후 반짝 상승세를 보였던 재건축 단지와 강남권 아파트마저 도로 가격이 원상복귀하는 추세다.
개포주공 1단지 전용면적 36㎡는 9월 초 5억7500만원에서 지난달 중순 최고 6억1500만원까지 올랐다가 지난주 5억8000만원으로 다시 떨어졌다.
서초구 반포자이, 반포한양 등도 11월 들어 한 주만에 1000만~2500만원씩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실제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시세에 다소 늦게 반영된다는 점에서 진작 떨어졌어야 할 가격이 뒤늦게 포착된 것이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