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은행의 틀을 과감히 깨고 디지털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환골탈태하는 길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KB국민은행 허인 행장은 올 해 신년사에서 '승부'라는 단어를 언급하며 '디지털 금융 플랫폼 기업'에 대해 전했다. 2021년 신년사에 담긴 허 행장의 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은행이 디지털 가속화를 진행 중이다. 국민은행은 올 해 이 부분에 중점을 두고 조직개편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디지털'과 관련해 이전에는 디지털 금융그룹과 협업을 했으나, 올 해를 보면 국민은행의 사업부들은 디지털 전환을 함께 이뤄야하는 업무를 해나가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룹장들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이며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 같은 흐름은 국민은행 뿐만은 아니다. 은행들은 더이상 공간에 갖혀 있지 않으려 하고 있다. 지점 영업력에 의존하던 모습은 지속될 수 없는 상황 속에 있으며 은행은 디지털 전환에 힘쓰고 있다.
작년 정부는 은행의 플랫폼 비즈니스 진출 허용 방침을 발표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금융 환경 변화에 대응해 혁신금융 정책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 금융권의 플랫폼 비즈니스 등 규제 사업을 허용하는 내용이 주로 담겼다.
이에 국민은행은 연말 정기 조직개편에서 Biz, 디지털, 데이터, IT 직원이 한 팀을 이루는 KB형 플랫폼 조직을 출범시켰다.
허 행장은 신년사에서 1천만 이상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스타뱅킹'을 언급하며 "손 안의 맞춤형 개인은행"이라고 했고, 간편뱅킹 앱 '리브(Liiv)'에 대해서는 "MZ세대에 특화된 AI 기반 금융 플랫폼으로 재탄생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KB형 플랫폼 운영모델은 고객 중심 경영이념을 현실에서 구현해내는 금융 혁신의 프론티어가 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은행 등 은행들의 디지털 도입은 단순한 업무 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전략과 비즈니스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허 행장의 언급과 같이 은행들은 디지털 금융 플랫폼에 승부를 걸어야 하는 현실에 있으며 이에 국민은행은 디지털 가속화를 진행하고 있다. KB의 디지털 플랫폼들은 1등 금융 플랫폼이 되고자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