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업 90% “지방투자는 시기상조”

국내 기업들은 대체로 지방투자여건이 개선되지 않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경기 침체와 자금조달 문제 등을 이유로 지방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35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지방투자 저해요인과 개선과제 조사’에 따르면 향후 3년간 지방에 대한 투자 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62.6%가 ‘투자계획이 없으며 관심도 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현재 투자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6.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돼, 대다수 기업들은 지방에 신규 투자계획을 세우거나 계획된 투자를 실행하는데 유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아직 국내 경제가 본격적인 회복기에 들어섰다고 확신하기 어렵고, 선진국 경제와 환율•원자재 가격 등 대외적 요인도 불확실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지방투자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전소재 제약업체 A사의 관계자는 “올해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자금사정이 나빠지자 제일 먼저 연구개발 투자를 미뤘다”며 “향후 매출증가를 위해서는 지금 신제품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경기침체가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새로운 투자를 하기는 쉽지 않다. 다른 기업들 사정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1년 이내 계획했던 투자가 무산되거나 지연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들이 뽑은 주된 원인으로 자금조달 애로, 경영방침의 변동(40.5%)과 같은 내부경영환경 요인보다는 경기 침체, 환율 변동 등과 같은 외부요인(51.4%) 등을 지적했다.

상의 관계자는 “경기 부진에 따른 매출감소와 자금난 악화, 대외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생각보다 더 위축되어 있는 것 같다”며 “최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투자분위기가 다소 살아나고 있지만,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환경이 취약한 지방으로 투자가 확대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지방의 투자여건을 묻는 64.9%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나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미흡하다’는 응답도 30.9%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개선되고 있다’는 응답은 4.3%에 불과해,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보다 실효성 있는 지역발전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투자활성화를 위해 향후 정부가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정책에는 ‘지방투자에 대한 세제감면, 자금지원 등의 인센티브 확대’라는 응답이 40.4%, 저렴한 산업용지 공급확대 16.2%, 기업투자관련 규제개선과 행정절차 간소화 15.2% 등을 꼽았다. 지자체의 적극적인 정책의지 및 협조(12.5%)에 대한 요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 관계자는 “정부가 지방에 대한 투자를 보다 강력하게 유인하기 위해서는 자금•세제지원을 확대하는 등 지원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