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화학 분기 매출 5조 '사상최대'…영업익 전년동기比 31.6%↑

LG화학이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경영실적을 거뒀다.


LG화학은 한국거래소 본관 1층 국제회의장에서 김반석 부회장 주재로 '2분기 기업 설명회'를 열고,  2분기 영업이익(IFRS 기준)이 8279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1.6%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액 5조 281억 원, 순이익 64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3%, 36.0%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대 경영실적이다.


이로써 LG화학은 첫 분기 매출 5조원 시대를 열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사상 처음 8000억 원과 6000억 원대를 넘어섰다. 종전 최대 실적은 지난해 3분기에 기록한 영업이익 6969억 원, 순이익 5422억 원이었다.


사업부문별 2분기 실적으로는 석유화학 부문이 매출액 3조 7651억 원, 영업이익 62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2%, 영업이익은 22.0%가 각각 증가한 실적이다.


정보전자소재 부문은 ▲매출액 1조 3003억 원 ▲영업이익 20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8.1 %, 영업이익은 70.9%가 각각 증가한 실적으로 특히 수익성 면에서 큰 폭의 실적개선을 보였다.


LG화학은 2분기 석유화학 부문 실적 호조 요인으로 ▲NCC 증설효과 및 프리미엄 PE제품군 판매 증대 ▲PVC제품의 견조한 신흥시장(인도, 중동 등) 수요로 안정적 수익성 유지 ▲ABS/EP 제품의 전방산업 호조로 인한 제품 가격 강세 등 타이트한 수급 및 견조한 수요로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을 꼽았다.


정보전자소재 부문은 ▲광학소재사업의 LED 등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 및 꾸준한 중국 수요 강세로 인한 실적 호조 ▲전지 사업의 수요 강세 및 공급물량 확대로 인한 지속적인 시장점유율 상승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회사 측은 2006년 남보다 '먼저', 남보다 '빨리', 남보다 '자주'라는 Speed 경영을 선포한 후 ▲에너지 절감 ▲생산성 증대 ▲최고의 기술력 확보 등의 전사적인 경쟁력 강화 활동을 펼쳐 어떤 상황 속에서도 실적을 낼 수 있는 탄탄한 체질을 갖췄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등 정신'을 갖춘 것은 물론, 임직원들이 즐겁게 일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는 등 예전과 달라진 조직문화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반석 부회장은 기업 설명회서 현재 석유화학과 정보전자소재가 각각 70:30의 비율을 향후 5년 후에는 50:50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우리가 일부러 석유화학과 정보전자소재 사업 구조를 (50대 50으로) 가져가려는 것은 아니다"며 "석유화학이 사업 특성상 성장 속도가 느린 반면 정보전자 소재쪽은 빠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석유화학 산업의 장밋빛 전망을 경계하며 "석유화학은 수급에 의해 매출이 결정되는데 2011년 실적은 괜찮고, 2012년과 2013년은 더 좋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도 호황이라고 영업이익률이 급격히 상승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미국 내 공장 준공식과 관련해 관심이 크게 높아진 전기자동차 배터리 공장 추가 건설과 관련해서는 "중국에 이미 회사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소형전지 공장이 있다"며 "차기에 공장 준공을 하게 된다면 중국에 중대형 전지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유럽은 미국 시장과 다르기 때문에 검토 중"이라며 "공장 건설 시기는 중국과 미국에 증설한 것이 있기 때문에 미국 공장이 돌아가는 것을 본 후에 가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LG화학은 3분기 사업과 관련해 "석유화학 부문은 고부가 제품 중심의 사업구조를 기반으로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며 "PO(폴리올레핀)부문은 신규 공급 증가에 따른 조정의 여지가 있으나, 성수기 진입으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 높은 수익성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보전자소재 부문도 성수기 수요 강세 유지 및 생산능력 확대로 인한 안정적인 수익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