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K에너지, 전기차 배터리 공장 2012년 완공

SK에너지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라인 증설로 시장을 넓혀나가고 있다.

SK에너지는 26일 충청남도 도청에서 구자영 SK에너지 사장, 안희정 충청남도 도지사, 유상곤 서산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남도 및 서산시와 서산산업단지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증설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에너지는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충남 서산시의 서산산업단지내 1차로 확보한 부지에 500MWh 규모의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라인을 건설할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500MWh는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 약 50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회사 관계자는 "수송이 편리한 항만(대산항)과 근거리에 있고, 배후도시(서산)가 발달돼 노동력 확보에 용이하다는 장점 등으로 충남 서산산업단지에 공장을 증설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하며, "미래 에너지로 주목 받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의 시장 공략을 한층 강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SK에너지는 이미 5월말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SK에너지 기술원 내에 100MWh규모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1호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이는 전기차 기준으로 5000대, 하이브리드 차량 기준으로 8만대분의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이번 배터리 생산라인 증설로 다임러 산하 미쓰비시 후소와 현대기아자동차그룹에 이은 추가적인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와의 제휴에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SK에너지 측은 "2005년 독자 개발한 리튬전지용 분리막 기술과 고유의 전극기술 등 소재기술을 기반으로 부품소재부터 최종제품까지 전 과정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양산 능력이 더해 진다면, 소재산업의 해외 의존에서 탈피함은 물론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이번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공장 증설로 인해 지역내 고용효과 발생·연관 사업의 발전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SK에너지는 향후 배터리 부품소재부터 최종제품까지 전 과정의 기술을 확보, 소재 국산화에 기여함은 물론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데 전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구 사장은 지난주 기업설명회(IR)에서 "분리막 이외에 양극재, 음극재 등 핵심소재 사업에 진출할 것"이며 "앞으로 (2차전지와 관련해서 ) 더 놀라운 소식을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한편, SK에너지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외에 저공해석탄에너지·그린 폴(이산화탄소 플라스틱)·바이오연료·수소에너지·스마트그리드 등 다양한 미래 에너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