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포스코 정준양 회장, 상생 위한 연이은 현장 방문

정준양 포스코 회장의 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발걸음이 추석을 앞두고 더욱 분주해지고 있다.
 
정준양 회장은 9일 시화공단 내 2차 협력기업인 하나금속 생산현장을 방문, 감사를 표하고 애로 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8월 인천지역 남동공단과 포항 철강공단에 이어 3번째 협력사 방문으로, 하나금속은 쇳물온도 측정 장치를 공급하는 우진일렉트로나이트에 몰리브덴 제품을 납품하는 포스코의 2차 협력기업이다. 종업원 7명이 연간 23억 원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다.
 
포스코 측은 정준양 회장이 방문지로 시화공단을 선택한 것에 대해 "이 공단이 주조·금형·용접 등 제조업 전반에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국가 생산기반 기술 산업인 '뿌리산업'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지난 6월 뿌리산업 진흥을 위해 20억 원의 기금을 출연하기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대·중소기업 협력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는 정 회장은 이날 하나금속 방문 후 반월공단 내 한국산업단지공단 서부지역본부 회의실에서 굿스틸뱅크㈜ 김기석 사장, ㈜남광엔지니어링 이상길 사장, ㈜이디엔텍 김기영 사장 등 중소기업인 11명을 초청, 도시락 간담회를 개최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중소기업 대표들은“청년 실업난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은 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며 애로를 호소하자 정준양 회장은“중소기업 애로사항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13일 청와대 상생 협력 간담회에서 정부와 대기업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올해 추석에도 협력기업에 1300 억 원 규모의 현금을 조기 지급한다. 협력작업비와 납품대금·공사비 지급으로 자금 부담을 덜어 줄 계획이다.
 
또한, 중소기업이 아닌 일반기업에 운영하던 외상 일수도 10일부터 기존 60일에서 40일로 단축키로 했다.
 
포스코는 지난 2004년부터 중소기업에 전액 현금으로 대금을 지급하고 있다. 일반기업의 경우에 5천만 원을 초과할 때 50%는 현금으로 지불하고 나머지 금액을 구매카드로 60일 이후에 지불해 왔지만 이번에 40일로 단축해줌으로써 거래기업의 자금 유동성을 높여주게 됐다.

한편, 포스코 관계자는 "금융지원·단가조정 등 상생협력 정책이 1차는 물론 2, 3, 4차 협력기업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기업 생태계 차원에서 상생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