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 13년째 경상흑자 기록…대외채무도 줄어

새로운 국제기준 도입으로 우리나라가 13년 연속 경상수지 흑자를 달성하고, 대외채무 규모도 줄었다.

한국은행은 8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정한 새로운 국제수지 매뉴얼(BPM6)을 1단계 적용한 결과,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경상수지가 32억달러 흑자로 계산됐다고 밝혔다.

2008년 경상수지는 종전 기준에 따라서 57억8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새로운 기준의 도입으로 흑자로 수정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1998년부터 올해까지 13년 연속 경상흑자를 달성한 국가가 됐다.

IMF가 도입한 새 매뉴얼은 선박수출 계산방식이 달라진 것이 특징이다.

선박수출 대금은 보통 2년6개월에서 3년 사이에 5차례가량 나눠받는데, 종전에는 국내 조선사가 선주에게 선박을 인도하는 시점에서야 수출액으로 파악됐지만 이제부터는 대금이 지급되는 각각의 시점에 맞춰 수출액으로 잡힌다.

다만, 이 같은 계산방식에 따라서 지난해와 올해 경상흑자는 당초 계산보다 줄어들게 됐다.
금융위기 이전 조선업계 호황으로 우리나라가 수주했던 선박이 대거 인도되면서 지난해 경상흑자는 사상최대인 426억7000만달러를 기록했었다. 그렇지만 새로운 매뉴얼 도입으로 327억9000만달러로 줄었다. 올해도 10월까지 경상흑자가 290억달러였지만, 231억7000만달러로 축소됐다.

한은 측은 "계산 방식의 변화일 뿐 경상수지가 나빠진 것으로 볼 수 없다"며 "이 같은 계산방식은 수출에 따른 외화자금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고 경상수지 변동폭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대외채무 규모는 새 매뉴얼 도입으로 줄어들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선박수출 계약으로 미리 받은 돈인 선수금을 선박인도시점까지 채무로 간주했던 방식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기준으로 우리나가 대외채무는 3660억2000만달러로 종전의 4153억8000만달러와 비교해 50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