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1% 증가하며 3개월 연속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3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전년 같은 달 대비 2.4% 증가했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1.3% 하락했다.
다만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채소류는 전년 보다 1.8% 올랐다.

특히 축산물 3.1%, 수산물 4.9% 각각 증가했다.
수산물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김 32.8%, 무 86.4%, 배추 49.7%, 양파 26.9% 각각 올랐다.
반면 감(-26.5%), 토마토(-19.8%), 파(-18.3%) 사과(-6.0%), 파프리카(-13.1%), 호박(-13.8%), 오이(-10.8%) 등이 하락했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정부는 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인건비·에너지 비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가공식품 출고가가 오른 것으로 분석했다.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1년 전보다 2.8% 올랐지만 2월(6.3%)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3월에는 공공서비스 물가가 1.4% 올랐다.
사립대 납입금이 작년보다 5.2% 올랐다.
외식 물가는 3.0%, 외식 제외 개인 서비스 물가는 3.2% 각각 상승했다. 이를 통해 전체 개인서비스는 1년 전보다 3.1%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1.9%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1%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