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그룹 노조, 남부고용청에 설립신고서 제출

복수노조 제도 도입 후 삼성그룹 일반을 포용하는 형태의 자율노조가 설립신청했다.

삼성노조는 13일 11시께 서울 남부고용노동청에 노조설립 신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노조는 특정 사업장에 국한된 단위 노조가 아닌‘초기업단위 노조'로 출범한 상태로 조합원은 삼성에버랜드 직원 등 4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지난 12일 오후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설립 총회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서울 남부고용노동청은 신고사항을 검토한 후 신고필증 교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지난 1일부터 복수노조 제도가 시행된 이후 삼성에버랜드 직원 4명이 `무노조 경영`을 해 왔던 삼성그룹 계열사로는 처음으로 13일 11시경 노조 설립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설립됐다.

지금까지 삼성 계열사에 노조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무노조 경영의 간접적인 합법화를 위한 '무활동 노조'였다는 평가를 받았던 것과 달리 이번에 설립된 노조는 현직 직원이 복수노조 제도 시행에 따라 설립한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13일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삼성에버랜드 직원 4명으로 구성된 삼성노동조합(삼성노조)이 지난 12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설립총회를 연 뒤 13일 오전 서울 남부고용노동청에 노조설립신고서를 제출했다.

또한 금번 삼성노조는 에버랜드 사업장에 국한된 노조가 아닌 `초기업 노조`로 출범했다. 위원장과 부위원장에는 각각 박원우 씨와 조장희 씨가 각각 선출되었으며 두 명 모두 現 삼성에버랜드 직원이다.

삼성노조는 아직 양대 노총에 특별히 가입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설립총회를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연 것 등을 고려할 때 민주노총에 가입할 것으로 보는 의견이 우세하다.

실제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지난 12일 삼성노조 설립총회에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변호사·노무사 등을 통해 노조 설립 준비를 철저히 했다"며 "단일 회사가 아닌 그룹 차원으로는 첫 노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는 별도로 지난달 20일 4명의 간부급 직원으로 구성된 삼성에버랜드 노조가 용인시청에 설립신고를 냈고, 같은 달 23일 설립신고증을 받았다. 당시 에버랜드 노조는 사측 우호적인 노조가 아니였냐는 지적이 있다.

현행 노조법에는 교섭창구 단일화 조항이 있다. 교섭요구 공고기간에 교섭참가를 희망하는 다른 노조가 없으면 기존 노조가 교섭대표 노조가 돼 2년 동안 독점 교섭권을 갖는다.

금번 '초기업단위' 삼성노조는 에버랜드노조가 아직 교섭권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에버랜드노조와 접촉한 뒤 향후 방향을 정한다는 입장이다. 만약 에버랜드노조가 교섭권을 획득했다면 삼성노조는 2년 동안 사측과 교섭할 수 없다.

삼성노조가 얼마나 많은 조합원을 확보할 수 있을 지 관심이다. 삼성에는 무노조 경영 원칙이 오랫 동안 뿌리 박혀 있어 직원들이 노조에 비우호적이고, 회사 측도 무노조 경영을 유지하기 위해 각종 `당근`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남부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삼성노조의 신고사항을 검토한 뒤 신고필증 교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에버랜드 관계자는 "아직 지방고용노동청으로부터 삼성노조 설립에 따른 사실을 연락받은 바 없다"며 "설립 시에는 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교섭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아른바 '삼성그룹노조'와 삼성그룹과의 관계 향방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