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일본은 한국 국채 매입 추진하고 한국은 중국 국채 매입 개시

[재경일보 조동일 기자] 한국은행이 중국 국채 매입을 개시한 가운데 일본정부도 한국 국채 매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은 27일 지난 1월 중국인민은행(PBOC)에서 승인받은 채권투자 한도 200억 위안(32억 달러) 중 일부 해당하는 액수를 이달 24일부터 투자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한은이 투자한도를 받은 것은 은행, 보험 등 기관투자자들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장외시장인 은행간 채권시장이다.

한은은 "시장을 공부·관찰하려고 들어가는 단계여서 아직 구체적인 투자 계획은 없다"며 "중국 채권의 금리수준이 높고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국 위상을 고려해 외화보유액의 투자 다변화 차원에서 소규모 투자를 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지난달 중국 국가외환관리국(SAFE)이 결정한 '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QFII)' 한도 3억 달러를 활용하려고 위탁운용사를 찾고 있다.

QFII는 중국 상하이·선전 증권거래소 등 장내시장 투자허용 규모를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27일 한국이 발행한 원화 국채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국채 매입은 일본 정부가 처음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외화보유액으로 일본 국채를 매입해 보유하고 있다.

일본의 아즈미 준 재무상은 이날 각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한국 국채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음 달 3일 필리핀에서 열리는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한국 측과 국채 매입을 협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아사히신문은 이날 일본 정부가 외화보유액을 활용해 한국이 발행한 원화 국채를 매입하겠다는 방침을 한국 정부에 전달해 이미 승낙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금융분야의 협력을 통해 지역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한국 국채를 사들이기로 했다.

지난해 10월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통화 위기시 외화를 융통할 수 있는 통화 스와프 규모를 130억 달러에서 700억 달러로 확충한 바 있다.

한은은 "한은과 일본은행이 이 문제를 이야기 한 적은 없다"며 "중국이야 닫혔던 시장이 하나씩 개방되는 것이지만 일본이나 한국 시장은 이미 완전히 열려 있어 누구라도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